•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寒洲 李震相의 ‘明德說’에 대한 理重視的 관점 一攷 (A Study on Lee Jin Sang's Viewpoint of the Theory of Myeongdeok(明德) Focusing on Ri(理))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5.12
22P 미리보기
寒洲 李震相의 ‘明德說’에 대한 理重視的 관점 一攷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 / 44호 / 323 ~ 344페이지
    · 저자명 : 이형성

    초록

    조선의 성리학은 우주론보다는 인성론에 대한 탐구가 깊었다. 16세기 중후반에 마음 밖으로 드러난 사람의 감정을 리기론(理氣論)으로 논쟁한 사단칠정론(四端七情論), 18세기 초반에 마음 내면에 내재한 사람과 동물의 본성이 같은가 다른가를 리기론으로 논쟁한 인물성동이론(人物性同異論), 그리고 19세기 내우외환(內憂外患)의 격동기에 심(心)과 ‘명덕(明德)’의 정의와 그 관계에 대한 리기론적 탐구가 그것이다. 특히 심과 명덕을 논한 학자 가운데에는 ‘성이 곧 리이다’라는 성즉리(性卽理)를 상기하면서도 심과 명덕을 격상시켜 리(理)와 일치시켜 전개하는 학자도 있었다. 당시 학계를 대표할 만한 학자는 화서(華西) 이항로(李恒老), 노사(蘆沙) 기정진(奇正鎭), 한주(寒洲) 이진상(李震相) 등이다.
    본 논문은 영남 성주에서 활약한 이진상의 ‘명덕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이진상은 35세 때(1825) 『대학』을 탐구하여 『대학차의(大學箚義)』를 지을 무렵, 주희(朱熹)의 ‘명덕’에 대한 주석을 치밀하게 분석한 다음, 종국에는 리의 관점에서 해석하고 기의 관점에서 해석한 명덕론을 비판하였다. 그후 61세 때(1878) 「명덕설(明德說)」을 저술하여 리의 관점에서 명덕을 해석한 ‘명덕주리설(明德主理說)’을 구축하였다. 논문 내용은 주로 원론적으로 전개하였는바, 먼저 주희의 명덕 주석에 대한 이진상의 해석, 그리고 명덕의 주기적(主氣的) 관점을 비판한 내용을 다루었으며, 마지막으로 이진상이 명덕과 심(心)ㆍ성(性)ㆍ정(情)을 일리(一理)로 조응(照應)시켜 전개한 것을 다루었다. 그의 리 중시적 명덕설 논지는 개인의 도덕적 윤리를 강화시키는 면이 강하고, 나아가 참된 도덕성을 배양한 선비나 위정자들이 시대적 사명을 가지고 국가와 사회에 실제적 영향력을 끼치고자 한 측면을 드러내는 것이라 하겠다.

    영어초록

    The Neo-Confucianism of Chosun had not finely investigated the definition of Sin(心, Mind) and Myeongdeok(明德, Righteous Way of Justice) and their relation until the 19th century. This study is focused on Lee Jin-Sang’s theory of Myeongdeok. Lee looked into Great Learning at his 35(1825) to write Daehakchaeui(大學箚義, a book of showing the justices written in Great Learning). For such job of his at that time, he analyzed Zhuxi’s annotation on Myeongdeok in detail and then translated Myeongdeok at the viewpoint of Ri(理, Principle) and criticized Myeongdeok translated in the viewpoint of Gi(氣, energy flow). Finally at his 61(1878), Lee wrote the Theory of Myeongdeok so that he could firmly established the theory of Myeongdeok at the viewpoint of Ri.
    The article of this study is mostly in theoretical basis to show Lee’s translation of Zhuxi’s annotation on Myeongdeok, Lee’s criticism on the viewpoint of Gi on Myeongdeok and finally Lee’s work for balancing and integrating Myeongdeok and Sim(心)ㆍSung(性)ㆍJung(情) in a principle. His point of the theory of Myeongdeok focusing on Ri values the individual’s moral principle and furthermore to encourage the scholars and politicians with true morality to have actual impact on the nation and society under the calling of the age given to the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