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계간삼천리』에 교차하는 공간과 주체 (Space and subject intersecting at the 『Gyegan Samchonri』 – the interior of a Korea・ZaiNiChi・Japan –)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9.06
24P 미리보기
『계간삼천리』에 교차하는 공간과 주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일본사상사학회
    · 수록지 정보 : 日本思想 / 36호 / 189 ~ 212페이지
    · 저자명 : 전성곤

    초록

    이 글에서는 재일 당사자들에 의해 간행된 『계간삼천리』를 텍스트로 삼아, 재일이 기술하는 국가 담론과 그러한 ‘국가에 대한 개인의 주체성’ 찾기가 어떠한 방식으로 전개되고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했다. 먼저 본 논고에서는, 일본이라는 국가가 아시아에 대해 갖는 시선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이것은 일본이 아시아에 대해서도 일본이라는 국가 내부에서 형성한 아시아공간에 대한 차별화 과정의 궤적을 밝혀내는 작업이었다. 전전에 전쟁에 동원된 일본국민들은 아시아해방이라는 인식에 대해 의심하지 못했고, 국가 이데올로기에 동원되었던 것이다. 그것은, 서구적 근대 인식을 무사상적으로 받아들여, 일본 자신들만의 해석에서 바라본 ‘아시아 해방’이었다. 그렇지만 이러한 인식은, 전후 일본에서도 지속적으로 계승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바로 전전과 전후에 연속적 갖는 그 내적 특성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특히 전후 자국 역사학의 특성에 존재하는 국가주의적 틀에 의한 ‘편견적 무사상’을 초월하여 ‘진정한 주체’를 갖는 경지에 도달하기를 시사하고 있었다. 그리고 이를 전제로, 전전에 일본인으로서 조선인을 차별하지 않으려는 인식은, 전후 미점령군의 행동을 보면서 깨닫게 된 경위를 설명한다. 그것은 지금까지 ‘기대고 살았던 기반’을 전면적 재설정하는, 즉 주체의식에 대한 재성찰을 느끼게 했다는 점이다. 그것은 동시에 전후 일본 내부에서 이질적인 존재로 생활하는 조선인을 보면서, 일본인이라는 것을 새로 느끼게 되는 계기가 된 점이 소개된다. 그리고 식민지를 경험하고 일본에 돌아와 활동하던 고바야시 마사루와 같은 ‘파괴적 주체’에 대해 고뇌하는 방식을 제시하는, 즉 외지 경험과 내지 경험을 교차시키면서 주체의 재구성에 대한 방식을 설명해 주고 있었다.
    그리고 일본에서의 지식인이 한국의 민중 개념을 통해 일본 내의 민주주의에 대한 반성을 촉구하는 내용이다. 전후 한국과 일본이 국가적 차원의 밀월시대가 열리면서, 억압받는 민중이 존재하는 것은, 전전과 전후가 ‘지배자’만 교체된 것이지 동형적 억압이 존재한다는 점을 알리고 있었다. 국민으로 수렴되는 국가 권력자도 마찬가지로 나란히 다룰 수 있는 것으로 ‘그러한 충실성’에 비판적 견해를 제시한다. 국가라는 공간에서 존재하는 개인이 그 국가의 경계 속에서 자아를 형성하는 논리를 통해 역설적으로 그 경계에 의해 인간의 주체가 형성되는 것이었다는 점을 인지하고, ‘국가’라는 개념이 만든 ‘주체와 경계 공간’을 타파하고자 하는 것을 주장하고 있었다.

    영어초록

    This study used as a text that was published by the parties concerned in Japan to clarify how national discourses were described by those parties and how the establishment of ‘individual identity to the country’ was developed. First, this study presented the logic of a sense of superiority that Japan had over Asia. It was the ‘gaze for Asia’ created by the interpretation inside Japan, which was to uncritically accept the Western perception of the modern times. This perception continued until the post-war era. It had a continuity from the pre-war era to the post-war era. Therefore, it was argued that it was necessary to find the context of the ‘post-war’ responsibility through the criticism on the studies of Asia that escaped from the pre-war thinking. In particular, a method of reconstructing the ‘subject’ was presented by reviewing the contents of ‘non-thinking’ trapped in the framework of nationalism existing in the study of history in the post-war era. Specifically, this was to logically explain that even Japanese people who took a position not to discriminate against Korean people, with the exception of Japanese people who discriminated against Korean people in the pre-war era, realized the meaning of non-discrimination against Korean people in the pre-war era through the meaning of the actions of the post-war US occupation forces who did not discriminate. That enabled the overall reestablishment of ‘the base on which the people lived so far,’ or the reconsideration on subjectivity. In addition, it became a new opportunity for them to realize that they were Japanese by watching Korean people living as heterogeneous entities in the postwar Japan. It explained the way of agonizing over a ‘destructive subject’ experienced under a colonial rule, or the possibility that the crossing of external experiences and internal experiences provides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subject. Finally, it was an explanation of how Japanese intellectuals urge for a reflection on democracy in Japan through the concept of the Korean populace. It criticizes the conspiracy of Korea and Japan that their intergovernmental aid at the national level eventually gave birth to the oppressed populace. In other words, it means that there is the same type of oppression only with the change of ‘the ruler’ in the pre-war and post-war periods. It argued that the individual who existed in the space of a state perceived the paradox that the subject as a human being was formed by the boundary of the state through the logic of forming the self in its boundary, and that the individual intended to break ‘the subject and boundary space’ created by the concept of ‘the stat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日本思想”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