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宮内庁書陵部蔵 『春秋経伝集解』 鎌倉中期点의 仮名音注에 대하여 (The Kanaonchu in the Middle of Kunaichoshoryobuzo “Chun qiu jing zhuan ji jie” Kamakura)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5.09
25P 미리보기
宮内庁書陵部蔵 『春秋経伝集解』 鎌倉中期点의 仮名音注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고대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고대학 / 39호 / 333 ~ 357페이지
    · 저자명 : 신지연

    초록

    宮内庁書陵部蔵『春秋経伝集解』鎌倉中期点의 假名音注를 16攝으로 나누어 예외자를 중심으로 검토하였다. 단 지면의 제한으로 용례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假摂․遇攝․蟹摂․止摂․通摂․曾攝․臻攝만을 그 대상으로 하였다. 본 자료의 假名音注가 나타내는 체계는 기본적으로 일본 漢音과 일치했다. 몇 가지 특징을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1) 본 자료는 誤記․誤讀例가 적은 편이다. 『經典釋文』이라는 확실한 의거 자료를 가지고 清原家累代의 訓讀法에 근거하여 규범적으로 가점한 결과로 생각된다.
    2) 魚韻開口3等乙類는 원칙적으로 일본 漢音에서 ㋑ヨ形으로 拗音形 표기인데, 歯音2等字에는 [ソ]로 直音形이 되는 例가 많다. 歯音2等字에서는 呉音처럼 [ソ]로 읽는 습관이 남아있었다고 추정할 수 있다. 呉音에서는 [ソ]였지만, 漢音에서는 乙類의 甲類에의 합류를 반영하여 [シヨ]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즉 魚韻開口3等乙類 歯音2等字는 [ソ]로 呉音讀되는 字가 많았기 때문에 그것을 바르게 잡기 위해서 反切을 쓰고 이에 따라 [シヨ]로 읽을 수 있도록 교정한 것으로 생각된다.
    3) 『春秋』는 기원전 5세기 공자로부터 시작되어 ‘春秋三傳’과 『杜預集解』를 거쳐 본 자료에 이르고 있다. 이로 인해 [伯ハ] [汰タツ] [稅タイ] 등 일본한자음에서 일반적이지 않은 音과 용법이 散見된다.
    4) 止攝合口字의 경우 牙喉音字 이외에도 [イ/ヰ] 兩表記가 混在되어 있다. [スヰ] [ツヰ] [ルヰ] 등은 중국원음의 介音w를 표기하려고 한 흔적으로 생각되며 일부 學識者 사이에서 시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5) 諄韻合口甲類의 경우는 混記가 많은 韻으로 院政期․鎌倉時代에 들어 체계적으로 정비되기 시작되었지만, 본 자료에서는 대부분 合口表記되어 있다. 이러한 표기는 원음의 合口性을 충실히 표기하려고 한 표기법상의 초기적 단계에서의 混記이지만, 본 자료는 鎌倉中期点으로 前代 底本의 移点에 의해 형태로 남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영어초록

    Kanaonchu (仮名音注) in the middle of Kunaichoshoryobuzo “Chun qiu jing zhuan ji jie” (宮内庁書陵部蔵 “春秋経伝集解”) Kamakura (鎌倉) was investigated in terms of the division of 16 groups being centered around exceptional instances. However, this study targets the group of Jia (假)․Yu (遇)․Xie (蟹)․Zhi (止)․Tong (通)․Ceng (曾)․Zhen (臻) owing to space limitations. The system represented in this material is in basic agreement with Sino-Japanese Kan’on. Some of the characteristics studied are as follows.
    1) This material has just a few examples of mis-description and misreading. These are thought to be the result of adding the points normatively based on the Kunyomi (訓読み) of the Kiyoharas (清原) for generations under the authority of “Jingdian shiwen” (經典釋文).
    2) Rhyme yu kaikou division 3 medial-ï (魚韻開口3等乙類) is, in principle, the ㋑ヨ type in Sino-Japanese Kan’on, which is yod. There are many cases of So (ソ) of Chokuon in tooth sounds division 2. This possible anomaly is because So (ソ) of Go’on became Syo (シヨ) with the reflection of the interflowing medial-i of medial-ï in the Kan’on. It is considered to have been corrected so that it can be written Fanqie (反切) and read as Syo (シヨ), owing to a number of characters orally read (Go’on yomi) as So (ソ) in the tooth sounds division 2 of the rhyme yu kaikou division 3 medial-ï.
    3) “Chun qiu” (春秋), starting from Kong zi (孔子) in the fifth century B.C., has been brought into this material through “Chun qiu san zhuan” (春秋三傳) and “Du yu ji jie” (杜預集解). This has caused abnormal sounds and usages to be found sporadically in the Sino-Japanese Kan’on such as Ha (伯ハ)․Tatsu (汰タツ)․Tai (稅タイ).
    4) In the case of Group zhi hekou (止攝合口字), two different usages of i/wi (イ/ヰ), other than the back tooth sounds and throat sounds, are mixed. Suwi (スヰ), Tsuwi (ツヰ), and Ruwi (ルヰ) are considered to designate the medial w of the original sound of the Chinese character and was used among the learned.
    5) Although the zhun rhyme hekou medial-i (諄韻合口甲類), full of rhyme and having notation for a variety of sounds, were organized systematically in the periods of Insei (院政) and Kamakura, most of them are in the form of Hekou in this material. Although these are in the early stages of the notation of a variety of sounds to attempt to express faithfully the Hekou of the original sounds, it is interpreted in this material that these are traces resulting from the transition point of the draft from the previous generation in the middle of Kamakur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고대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