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령왕릉 미확인 출토 유물에 대한 음악학적 접근 -현악기 존재 여부에 관한 고찰- (A Musicological Approach to Unidentified Artifacts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Consideration on the Existence of String Instruments-)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3.12
20P 미리보기
무령왕릉 미확인 출토 유물에 대한 음악학적 접근 -현악기 존재 여부에 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악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연구 / 74권 / 307 ~ 326페이지
    · 저자명 : 이장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1971년 발견된 무령왕릉 내부에 거문고 관련 유물의 존재 여부를 두고 벌인 학계의논쟁을 음악학적 관점에 검토해보는 데 있다. 이러한 쟁점은 최초 무령왕릉의 발굴단장인 김원룡의 무령왕릉발굴보고서 의 기록에서 비롯되었다. 김원룡은 보고서에서 육각형과 장방형의 유물인 ‘흑칠은금구’를거문고의 잔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현재 이 유물은 금속 장식이 악기의 울림에 지장을 줄 수 있다는학자들의 견해를 토대로 무령왕 목관 마구리 장식으로 복원된 상태이다. 그러나 의물의 형태로 제작했다고가정한다면 금속공예가 발달한 백제시대에 금속으로 장식한 악기가 존재할 수 있다. 그리고 장방형 ‘흑칠은금구’와 같은 장식이 부착된 철금식(鐵琴式) 악기가 중국에도 존재하므로 ‘흑칠은금구’가 거문고의 잔해일수 있다는 견해를 밝혔다.
    한편, 왕릉 안 진묘수 바로 뒤의 제대(祭臺)가 있는 곳에서는 삼나무와 목기구가 발견되었다. 그런데이 구역은 거문고의 잔해로 추정하는 장방형의 장식이 발견된 곳이다. 삼나무는 원래 목관의 일부라고예측했다. 그러나 무령왕의 목관 재료인 금송이랑 다르고 얇으므로 현재에는 중문의 문짝으로 추정하고있다. 하지만 거문고의 잔해가 있다고 추정하는 구역과 맞닿아 있으므로 이를 관의 목재라 가정하고 분석해본다면 금갑(琴匣)과 관련지을 수 있다. 특히, 정창원에 보관된 신라금의 금갑 재료가 삼나무인 점에 주목할필요가 있다. 왕릉 내부의 삼나무를 원래 관의 재질로 추정했던 용도로 해석해 본다면 금갑의 재료일 수있다. 더불어 현재 문짝의 부속품이라 추정하고 있는 목기(木器)도 정확한 용도를 밝히지 못하고 있다.
    구멍의 지름이 3~4cm로 부식이 심하여 현재에는 원뿔형의 모양으로 발견되었는데 요고의 형태를 띤 의물이 아닌지 음악학적인 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앞으로도 무령왕릉 출토 유물에 관한 음악학계의 연구가지속되어 백제 음악사와 연관된 다양한 의문이 밝혀지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from a musicological perspective the scholarly debate regarding the existence of artifacts related to the Geomungo (a traditional Korean stringed instrument) found inside the tomb of King Muryeong, discovered in 1971. This issue originates from the records in Kim Won-ryong's “Excavation Report of the Tomb of King Muryeong.” Kim claimed that the hexagonal and rectangular artifacts, referred to as ‘Heukchileungeumgu’ were remnants of a Geomungo. However, based on scholars' opinions that metal decorations could interfere with the sound of an instrument, these artifacts are currently restored as decorations for King Muryeong's wooden coffin end-caps. Nonetheless, if we assume these were made as ritual objects, it is possible that instruments decorated with metal existed in Baekje, known for its advanced metalwork. It has also been noted that metal-decorated iron zither-like instruments with decorations similar to the ‘Heukchileungeumgu existed in China, hence the possibility that these could be remnants of a geomungo.
    Furthermore, behind the royal tomb's main burial chamber, a platform was found along with cypress wood and wooden utensils. This area is where the rectangular decorations presumed to be Geomungo remnants were discovered. Initially, the cypress wood was thought to be a part of the wooden coffin, but since it differs from the thick juniper wood used for King Muryeong's coffin and is thinner, it is now presumed to be a part of the gate's door. However, considering its proximity to the area where Geomungo remnants are assumed to be, if we assume the wood was part of the coffin and analyze it, it could be related to the qin case (instrument case). It is particularly noteworthy that the material of the qin case of a Silla gold artifact stored in Jeongchangwon is made of cypress. If we reinterpret the cypress wood found inside the royal tomb as having been originally intended for the coffin, it could be the material of the qin case. Moreover, the purpose of the wooden utensil, currently presumed to be a door fitting, is not clearly identified. With a hole diameter of 3-4cm and severe corrosion, it was found in a cone-like shape, and a musicological investigation is necessary to determine if it could be a ritual object shaped like a Yogo (a bell-shaped artifact). Further musicological research on the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Tomb of King Muryeong is anticipated to shed light on various questions related to the history of Baekje music.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