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宮内庁書陵部蔵 『春秋經傳集解』 鎌倉中期点의 聲点에 대하여 (The Tone in the Middle of Kunaichoshoryobuzo “Chun qiu jing zhuan ji jie” Kamakura)

1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0.08
19P 미리보기
宮内庁書陵部蔵 『春秋經傳集解』 鎌倉中期点의 聲点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일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日本學(일본학) / 51권 / 83 ~ 101페이지
    · 저자명 : 신지연

    초록

    본 논문에서는 宮內廳書陵部藏 『春秋經傳集解』鎌倉中期点(文永点)에 加点되어 있는 聲点을 분석해 보았다. 이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文永点에 加点되어 있는 漢字音注는 총 3,501字이며, 그 중 声点이 加点되어 있는 경우는 2,507字로 약 71.6%에 해당하는 높은 수치이다.
    2) 시대가 내려오면서 聲調의 필요성이 低下되어 聲点數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한다. 그러나 鎌倉中期 자료인 文永点에는 대량의 聲点이 加点되어 있는데, 이는 동시대의 타 문헌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특징이다. 그 원인으로는 經書라고 하는 자료의 성격과 前代의 底本을 移点했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다.
    3) 文永点에 加点되어 있는 声点數는 총 9,487개이며 그 중 輕聲은 173개이다. 文永点은 保延点을 移点한 자료로 聲点 加点 자체는 유지하여 많은 聲点數를 보유하고 있지만, 平聲과 入聲에서 대부분 重聲이 加点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輕重의 구별은 거의 소멸되는 단계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4) 沼本克明의 ‘全濁上聲字의 去聲化率’을 근거로 한 분류에 따르면 본 자료는 ‘去聲化 비율이 거의 반반인 것’에 해당한다. 그러나 일본에의 傳來가 오래된 『春秋』는 全濁上聲字을 去聲化 시키는 일이 적은 文獻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자료의 聲点은 加点했을 당시의 경향을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nalyzed the tone marks that are marked in the book Kunaichoshoryobuzo “Chun qiu jing zhuan ji jie”(a.k.a. Bun ei ten) that was written in the middle of Kamakura era. To sum it up, it goes like this.
    1) A total of 3501 kanziontyus are marked in Bun ei ten including 2507 tone marks, which is a high figure equal to about 71.6% of kanziontyus in the book.
    2) The number of tone marks have been reduced as the need for tones has been faded away through generations. However, a numerous tone marks are marked in Bun-ei-ten that was published in the middle of Kamakura era, although other documents at that time are not shown such characteristic. It is because that Bun-ei-ten is a Confucian classic with tone marks marked on original context of its former generation.
    3) A total number of tone marks in Bun-ei-ten are 9487, and there are 173 light tones among them. Bun ei ten is a document that had been transcribed tone marks from Ho-en-ten, maintaining its characteristics of marking tone marks, and thus it has many tone marks. However, given the fact that most of the rushing and pingsheng are marked in heavy tone in Bun-ei-ten, distinction between light tone and heavy tone is assumed to be almost in the stage of extinction at that time.
    4) According to the categorization based on ratio of replacing muddy sounds-shangsheng for qusheng made by Numoto Katuski, the ratio of changing into qusheng in Bun ei ten is equivalent to almost half. One of the ancient Japanese books Chun qiu, however, is known for its few changes from muddy sounds shangsheng to qusheng. Therefore, tone marks of Bun ei ten seem to reflect the trend in marking tone marks at that tim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