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백제 무령왕릉 묘지석의 氣朔術 검토와 『宋書』 元嘉曆 사용에 대한 재론 (A review on Gisaksul of the memorial stone of King Muryeong and use of the Yuanjia calendar shown in )

4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6.09
46P 미리보기
백제 무령왕릉 묘지석의 氣朔術 검토와 『宋書』 元嘉曆 사용에 대한 재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연구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연구 / 174호 / 1 ~ 46페이지
    · 저자명 : 서금석

    초록

    『周書』 백제전은 ‘用宋元嘉曆’라고 소개했다. 1972년에 발굴된 백제 무령왕릉의 유물 중에 무령왕과 왕비 사망일 등이 표기된 묘지석이 발견되었다. 이에 이들 몇 몇의 날짜를 단서로 백제의 원가력 사용을 입증하고자 했던 노력이 역산학적으로 이루어졌다. 이 연구 결과로 백제는 중국 남조 劉宋(420~479)의 하승천이 만들었던 元嘉曆(445~509)을 받아들인 이후, 멸망할 때(660)까지 이를 사용했다고 알려져 왔다.
    2000년 후반에 들어와서 무령왕릉 묘지석의 해석을 원가력만으로 한정한 것이 역산학 측면에서 아직 불충분한 견해임이 지적되었으며, 동시에 중국 남조 梁(502~557)의 조충지가 찬진한 大明曆(510~589)의 역법이 오히려 백제 무령왕릉 묘지석 역일에 적용될 수도 있다는 개연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무령왕릉의 묘지석만을 가지고 백제가 어떤 역법을 사용했다고 판별하기란 쉽지 않다.
    필자 또한 원가력의 역산술이 묘지석의 역일과 부합하다는 이유만으로 백제가 해당 시기뿐만 아니라 백제의 멸망 시까지 반드시 원가력을 사용했다고 보았던 그간의 견해에 대해 동의하지 않는다. 즉, 묘지석에 표기된 역일과 원가력의 역산술의 부합 여부가 가치 판단에 있어서 절대적이라기보다는 상대적일 수도 있음에 유념할 필요가 있다. 실제 백제의 역일과 원가력상의 역일이 같다는 점은 백제가 원가력을 사용했을 것이라는 단지 하나의 가능성일 뿐이다. 만약 조충지의 대명력에 의해서도 묘지석의 역일이 부합된다면 상황을 판단하는 데는 보다 더 신중해야한다.
    이 글을 통해 원가력과 대명력에 의해 산출된 삭일의 값이 무령왕릉 묘지석에 표기된 삭일이 모두 일치했음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백제와 남조와의 대외관계를 염두에 두고, 무령왕의 재위 기간 그리고 국왕과 왕비의 사망과 장례일을 살펴본다면 원가력뿐만 아니라 백제의 대명력 수용 가능성도 전혀 배제되어서는 안 된다고 본다. 백제의 원가력 수용이 원가력 행용 시기에 이루어졌음을 전제한다면, 대명력 수용 시기도 대명력의 행용 기간과 관련이 깊다. 이로써 사료에 기재되지 않았다는 사유로 대명력의 유입 가능성 또한 열어두지 않으면 안 될 듯하다.

    영어초록

    In Baekje-jeon, 『Zhoushu』, there is a description, “... uses the Yuanjia calendar of Song (‘用宋元嘉曆’)”. The relics of the tomb of Baekje King Muryeong excavated in 1972 include the memorial stone showing King Muryeong’s and his queen’s deathday. Based on the clue of a few days shown in the memorial stone, there was a research trial to prove that Baekje used the Yuanjia calendar from a view of calendrical science. As a result, it has been said that Baekje introduced the Yuanjia calendar (445∼509) made by He Chengtian during Liu Song(420∼479) of the Southern dynasties, China and used that until its downfall(660).
    In late 2000, there raised a question of limiting the interpretation of the memorial stone of King Muryeong to the Yuanjia calendar from a view of calendrical science, and appeared a probability that the Daming calendar (510∼589) made by Zu Chongzhi of Liang, the Sourthern dynasties, China (502∼557) might be applied to the calendar in the memorial stone of King Muryeong in Baekje Kingdom. It is difficult to judge that Baekje used the certain calendar with few records in the memorial stone of King Muryeong.
    This study does not agree to the existing view that Baekje used the Yuanjia calendar until its downfall only because of the fact that the system of the Yuanjia calendar corresponds with that of the days in the memorial stone. It is required that the fact the calendrical day in the memorial stone corresponds with that of the Yuanjia calendar is relative, not absolute for value-judgement. Actually, the fact that the calendric system Baekje used was the same as that of the Yuanjia calendar is just a possibility that Baekje kingdom might use the Yuanjia calendar. If the calendar day shown in the memorial stone corresponds with that of the Daming calendar by Zu Chongzhi, we need more careful approach.
    This research confirmed that the first day of the lunar month calculated by using not only the Yuanjia calendar, but also the Daming calendar corresponds with that shown in the memorial stone of King Muryeong. The research result shows that it is possible that Baekje introduced both the Yuanjia and Daming calendar, considering the period of King Muryeong’s reign and his and his queen’s deathday and funeral day in the context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Baekje and the Southern dynasties. If it is premised that Baekje introduced the Yuanjia calendar during the period when it was extensively used, the introduction of the Daming calendar also should be related to the period when it was widely used. Thus, we should be open to the possibility that the Daming calendar would be also introduced to Baekje, even if not recorded in historical record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