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익산 쌍릉 출토 유물-목관을 중심으로- (Artifacts Excavated from the Twin Royal Tombs in Iksan - With a focus on the wooden coffin -)

4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7.06
42P 미리보기
익산 쌍릉 출토 유물-목관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마한백제문화 / 29권 / 5 ~ 46페이지
    · 저자명 : 이영범

    초록

    익산 쌍릉은 전라북도 익산시 석왕동 산55~56번지에 위치하고 사적 제87호(1963.1.21.)로 지정되어 있다. 원형의 봉분이 남-북으로 나란히 약180m의 거리를 두고 있으며, 일제강점기인 1917년 12월에 조선총독부에 의해서 조사되었다.
    조선총독부는 소왕묘와 대왕묘를 조사하였으며, 두 무덤은 백제 사비시기(A.D. 538~660)의 횡혈식석실로 확인되었고 여러 점의 유물이 출토되었다. 조사 내용은 조선총독부가 1920년 발행한 「大五六年度古蹟調査報告」에 간략한 내용 및 석실구조가 기록되어있다. 또한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사진으로 출토 유물과 유적이 확인된다.
    소왕묘와 대왕묘 출토품이 각각 7건 11점과 7건 7점이며, 정확한 출토지를 알 수 없는 것과 쌍릉 부근에서 출토된 토기편 등이 6건 13점이다. 이 중에서 소왕묘에서 출토된 4건 5점과 대왕묘의 3건 3점이 한국전쟁 당시 망실되어 남아 있지 않다.
    대왕묘에서 출토된 유물로는 목관이 있다. 목관은 비교적 보존상태가 양호하여 전체적인 형태와 구조 그리고 각 판재의 결구방법 등을 자세하게 관찰할 수 있다. 목관의 구조는 뚜껑과 상·하·좌·우 측판, 바닥판 모두 6개 통판으로 제작되었으며 관재의 수종은 금송이다. 또한 관고리가 없으며 관뚜껑과 목관 본체의 결합이 독특하고, 언제든지 관뚜껑과 본체를 분리할 수 있는 구조이며, 목관의 앞뒤가 구분되게 제작하였다. 전체적인 형태는 상원하방형이고 금동제 및 동제의 장식품이 부착되어 있다. 금속장식품은 기능에 따라 금동좌금구 2종류와 관못 8종류로 구분된다. 성분 분석결과 이것들은 순동이나 청동에 수은아말감 금도금법을 이용하여 제작한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목관과 부속금속품의 관찰을 통하여 도금기법, 축조기법, 눌러새기기법, 주조기법, 두부와 신부를 별도로 제작하여 접합한 흔적, 못 구멍 뚫은 기법, 금박도금 경계 흔적 등을 확인하였다. 또한 익산 미륵자지 석탑(서탑) 심주석 상면의 +자 먹선, 사리장엄구 금동제사리외호와 금제사리내호의 집선문, 연판문(∪, ∩) 새김방법과 같은 기법이 대왕묘 목관에서도 동일한 기법으로 처리된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목관 부재 결합과 금속품 부착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공정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작당시 목관의 모습을 디지털 복원하였다.

    영어초록

    The Twin Royal Tombs in Iksan are located at #55~56 San Seokwang-dong, Iksan-si, Jeollabuk-do, and was designated as Historic Site No. 87 (January 21, 1963). Two circular-mound tombs lie side by side from south to north apart about 180 meters from each other. They were first surveyed by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Korea in December 1917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The Japanese colonial administration investigated both the tomb of the great king and that of the small king and confirmed that they were the tombs of Baekje Sabi period (A.D. 538~660) with the tunnel-type stone chambers. From the two tombs, several pieces of artifacts were excavated. The particulars of the survey including the structure of the stone chambers were summarized in the 「Historical Investigation Report of the Remains in the 6th Year of Japanese King Taishou - 大正六年度古蹟調査報告」published in 1920. The collection of excavated artifacts and remains can also be seen through the glass plate films housed in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articles unearthed from the tomb of the great king numbered 11 pieces of 7 kinds and those from the small king were 7 pieces of 7 kinds. The number of pottery sherd unearthed from the vicinity of the Twin Royal Tombs and the number of those whose exact excavation site is not known totaled 13 pieces of 6 kinds. Of these, 5 pieces of 4 kinds excavated from the small king and 3 of 3 excavated from the great king have been lost in the Korean War.
    The relics excavated from the tomb of the great king include a wooden coffin which is relatively so well preserved that its overall shape and structure as well as the way how each plate in it was assembled can be observed in detail. As for the structure, the wooden coffin made of Kotamaysu (Japanese umbrella pine) consists of a lid and a total of six plates attached to top, bottom, left, right and both sides, respectively. There is no ring in the wooden coffin, and its lid and main body are combined in a unique manner. The structure of the coffin allows its lid and main body to be separable from each other at any time and its front and back parts are made distinctively. The overall shape of the coffin is such that its upper part is circular while the under part is flared, with gilt bronze and copper ornaments attached to. The metal ornaments of the coffin may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of gilt-bronze knockers in the left side and eight kinds of nail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The analysis of the components revealed that they are characterized by the use of mercury amalgam with gold plated to pure copper or bronze. Moreover, the survey of the wooden coffin and metal accessories confirmed that used were such techniques as plating, construction, pressing, casting, and punching, and there are traces of the head and body of the coffin manufactured separately but bonded together, as well as vestiges of gold plating boundary. It was also made clear from the survey that the same technique as used in the remains unearthed from the site of Mireuksa Temple in Iksan was also employed for the wooden coffin in the tomb of the great king. Such techniques include ┼-form chinese ink line found on the upper plane of the deep central stone column in the Stone Pagoda (West Pagoda) of the Mireuksa Temple site, collective pattern of lines as seen in the gilt bronze outer jar as well as in the golden inner jar for sarira reliquary, chasing technique of lotus petal pattern (∪, ∩), etc. The manufacturing process using combination of wooden coffin accessories and metal parts, too, became evident thanks to the survey and put for digitally restoring the original shape of the wooden coffin in the way it was made firs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