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령왕릉 묘지(墓誌) 형태 비교 연구 (A Study of Backje King Muryeong’s Epitaph)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0.08
21P 미리보기
무령왕릉 묘지(墓誌) 형태 비교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연구 / 72호 / 1 ~ 21페이지
    · 저자명 : 박순발

    초록

    무령왕릉 묘지에 뚫려 있는 천공에 대해 발굴보고서 작성 당시부터 비천(碑穿)에서 유래되었을 것이라는 추정이 있었다. 그 후 식반(式盤) 모방설, 백제 고유 상장문화 기원설 등이 제기되었으나 묘지가 기원한 당시 중국의 상장문화에 대한 맥락적 접근이 부족하였다.
    묘지는 묘비와 함께 후장(厚葬)이 보편화되었던 동한(東韓) 무렵에 등장하여 서진(西晉) 이후 정형화된다. 위진(魏晉) 시기의 박장령(薄葬令) 및 금비령(禁碑令)으로 인해 위축된 묘비가 묘실 내부로 축소 이전된 데에 원인이 있다.
    선진(先秦)시기의 비(碑)는 땅위에 세운 석재 기둥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동한에 이르러 무덤 조영 시 하관(下棺)용 석재 혹은 목재 기둥에 망자의 이력이나 공덕 등을 새긴 묘비의 출현과 더불어 각자비(刻字碑)가 보편화되기 시작하였다. 하관시 도르래를 설치한 구멍에서 기원한 비천(碑穿)과 함께 줄에 의한 마찰흔에서 유래한 훈문(暈紋) 등은 그러한 묘비의 유래를 말해준다.
    서진대 묘지는 묘비 형태를 모방한 비형묘지가 주종이다. 동진 시기 북방 사족들의 남천 과 함께 강남지역에도 묘지문화가 확산되었다. 동진 초기에는 중원 수복 및 귀장(歸葬)의 염원이 강하여 묘지는 이후 천장을 위한 간단한 표지(標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벽돌 재질에 묘주의 신원, 사망 일시, 안장 일시 등만을 기록한 것이었다. 동진 후기에는 고토 회복 및 회향 의식의 소멸과 더불어 묘지문화도 달라진다. 벽돌 재질이 석재로 전환되고 서진대 이래의 비형묘지는 묘지 고유의 장방형 혹은 방형 석판 묘지로 바뀐다. 그와 함께 묘지 내용도 서(序)와 명(銘)으로 구성된 정형화된 묘지 문체가 확립되었다.
    무령왕릉 묘지는 방형에 가까운 형태의 석제 묘지이고, 그 내용도 간략하다. 이러한 면모는 동진 후기·남조 초기의 묘지문화에 흡사하여, 무령왕릉 조성 시점보다 약 1세기 정도의 시간적 정체성(停滯性)이 확인된다. 묘지와 함께 매지권을 구비한 점이나 묘지의 위치가 연도 중앙이라는 점 등은 그러한 양상과 부합된다.
    이러한 상장문화의 전개를 염두에 두면 무령왕릉 묘지는 아직 묘비의 개념이 잔류하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따라서 묘지의 천공은 비천(碑穿)을 제외하고 그 유래를 상정하기 어렵다. 2매로 구성된 묘지 정면과 반면을 모두 각자한 점 역시 묘비의 개념과 일맥상통한다.

    영어초록

    The hole on King Muryeong’s epitaph once was assumed originated from gravestone’s characteristic hole called ‘Cheon(穿)’. But until now there is no consensus on this problem. This article focuses on the origin of the epitaph hole of King Muryeong of Backje.
    The practice of epitaph interment had begun since Jin(晉), at the time which government prohibited the erection of memorial tombstone on the ground . In fact epitaph interment could be considered as underground miniature of memorial tombstone, and the appearance of both was almost same at that time.
    Chinese traditional memorial tombstone took a form during Han(漢) dynasty, originally from tomb construction wooden pillars, which were erected near the corner of grave pit and used as support post of downing pulley block. For that reason has a appearance the hole on the head of post fixing block and belt frictional vestige on the surface. The former is so called ‘Cheon(穿)’, the latter is a characteristic decorative motif of memorial tombstone.
    After East Jin(東晉) the form of epitaph gradually change from a original memorial tombstone style to rectangle type, and the material of epitaph also made of brick or tone. But the basic idea of epitaph as underground tombstone still remained, and at that reason some case of epitaph was set the location in the center of burial chamber entrance that is symbolically same position of tombstone on the ground.
    The epitaph of King Muryeong has some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latter East Jin or Early Song(宋) period’s. Time lag between real time of King Muryeong’s tomb and the style of epitaph practice is supposed to be more than one century. Considering these contextual trend of epitaph practicing the hole of king Muryeong epitaph has a deep affinity with ‘Cheon(穿)’ of memorial tombston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