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황릉몽환기>의 서술태도와 작가의식 -‘정씨’이야기를 중심으로- (The Narrative Aspect of and the Writer’s Intent)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07.12
26P 미리보기
&lt;황릉몽환기&gt;의 서술태도와 작가의식 -‘정씨’이야기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26호 / 347 ~ 372페이지
    · 저자명 : 반재유

    초록

    이 글에서는 조선후기 몽유록계 소설인 <황릉몽환기>의 서술태도와 작가의식에 대해 살펴보면서, 이 과정을 통해 작품의 패러디적 특징을 설명하려 한다.
    <황릉몽환기>는 작품 전반에 걸쳐 ‘여성중심의 서사’가 보인다. 이러한 바탕 위에 ‘형식의 차용’과 ‘내용의 변개’는 특정 작품에 대해 작가의 비평의식을 드러낸, 본격적인 ‘패러디’로 볼 수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여와전>과 <황릉몽환기>에 등장하는 동일한 인물 내지는 소재의 유사성을 근거로 <황릉몽환기>를 <여와전>의 연작이라 규정하고 있지만, 두 작품 모두 당대의 흥미로운 소재거리였던 ‘황릉묘’를 다룬 서사물일 뿐, 어느 대상 작품을 근거로 창작된 연작소설이라 할 수 없다.
    <황릉몽환기>는 <유효공선행록>에 대한 한 편의 짧은 삽화(揷話)이며 큰 반전(反轉)이라 할 수 있다. 불우한 여성의 이야기를 복선화음(福善禍淫)의 결말로 포장하고 항상 남성의 종속된 위치에서 여성을 기술했던 기존의 서사양식들은, ‘패러디’라는 작가의 비평방식을 통해 문제의식을 드러내게 된다.
    필자는 ‘여성중심의 서사’라는 작품의 서술태도를 설명하기 위해 ‘정씨’가 등장하는 <황릉몽환기>의 후반부를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했으며, 조선후기 몽유록계 작품들과 비교를 통해 ‘정씨’ 단락에서 보이는 특징적 서사구조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몽유록계 작품들의 다양한 구조적 변화는 뚜렷한 인과관계를 벗어나 서사내적으로는 이해되기 어려운 사건의 나열로 서술되어 있다. 이는 몽유록 자체가 전고(典故)에 의지해야 하는 특유의 전달방식에도 기인하지만, 당대 작가의 서사관 내지는 서술태도를 가장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었던 구성방식이었기 때문이며, 이러한 특징들은 <황릉몽환기>에서도 뚜렷이 드러나고 있다.
    <황릉몽환기>는 ‘형식의 차용’과 ‘내용의 변개’를 수반함으로써 ‘재구성’과 ‘변형’이라는 ‘패러디’의 이중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이러한 ‘패러디’를 통해 여성의 시각에서 사건을 바라보려는 작품의 서술태도를 보다 효과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이는 과거 서사물에 대한 단순한 비판보다는 작가의 문제의식을 통해 개작(改作)의 욕구를 표출한 것이다. 또한 원작의 품격을 떨어뜨려 기존의 익숙한 서사양식을 비난한 것이 아닌 ‘여성중심의 서사’라는 <황릉몽환기>의 서술태도와, 작가의식을 드

    영어초록

    This paper deduces the parodic characteristics of <Hwanglungmonghwangi(黃陵夢還記)>, one of the 'Mongyurok(夢遊錄)' in the late Joseon(朝鮮) Dynasty, by examining its narrative aspect and the writer's intent.
    <Hwanglungmonghwangi(黃陵夢還記)> shows us its 'female-centered narration' throughout the work and, on that basis, its 'borrowed form' and 'altered content'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a parody, which expresses the writer's critical view on another work. The previous studies remarked that <Hwanglungmonghwangi(黃陵夢還記)> is the sequence of <Yeowachon(女媧傳) because they have the same characters and their material is similar. However, the material was only an interesting gossip in those days, not that <Hwanglungmonghwangi(黃陵夢還記)> is a sequence of another work.
    <Hwanglungmonghwangi(黃陵夢還記)> is both a short episode and a huge reversal for <Yoohyogongsunhaengrok(柳孝公善行錄)>. The writer used 'parody' and expose his critical mind for the existing dominant narrative styles, which embellished its story about a deprived female with a happy ending with the words "Bad people are punished and good people are rewarded," and depicted females as ones who are subordinated to males.
    I mainly discussed the latter half of <Hwanglungmonghwangi(黃陵夢還記)>, in which 'Mrs. Jeong' appears, to explain its narrative aspect of 'female-centered narration', and I examined the characteristic narrative structure in those 'Mrs. Jeong' paragraphs by comparing with other contemporary 'Mongyurok(夢遊錄)'. The structural variation of the 'Mongyurok(夢遊錄)' reveals itself as the parade of the events which has no solid causes and effects of interactions and is hard to understand in the story. That is because not only we need to aware of some formal books to understand the stories but also that is one of the best effective forms to express the writers' narration viewpoint or the narrative aspect in those days, and that is also apparent in <Hwanglungmonghwangi(黃陵夢還記)>.
    With the 'borrowed form' and 'altered content', <Hwanglungmonghwangi(黃陵夢還記)> reflects the dualistic characteristics of a parody, reconstruction and transformation, and by the parody the writer effectively showed its narrative aspect telling its story with woman's viewpoint. This exhibits his desire to modify previous narratives with his own critical mind, not just to criticize them. The writer expressed <Hwanglungmonghwangi(黃陵夢還記)>'s narrative aspect of 'female- centered narrative' and also carried out his intent, not criticized the previous familiar narrative mode by degrading the original work.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