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비기 백제 왕릉의 새로운 인식-익산 쌍릉(대왕릉)을 중심으로- (New Awareness of the Royal Tombs during the Sabi Period of Baekje - With a Focus on the Twin Royal Tombs (Tomb of the Great King) in Iksan -)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9.08
33P 미리보기
사비기 백제 왕릉의 새로운 인식-익산 쌍릉(대왕릉)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백제문화 / 61호 / 5 ~ 37페이지
    · 저자명 : 이문형

    초록

    일제강점기 일제는 식민지 통치를 합리화하기 위해 우리나라 전국에 산재한 수 많은 유적을 파 헤쳤다.
    100년이라는 한 세기가 흐른 지금, 당시 조사되었던 많은 유적들이 우리나라 학자들의 손을 거치면서 새로운사실들이 밝혀지고 있는데 익산 쌍릉은 그 대표적인 사례의 하나이다.
    익산 쌍릉은 오금산(해발 180m) 서쪽 능선 말단부 낮은 구릉에 2개(대왕릉·소왕릉)의 원형분이 남-북 방향으로 180m 떨어져 나란하게 자리하고 있다. 2017년 대왕릉의 재조사를 통해 백제 사비기 왕릉의 구조에대한 새로운 자료와 함께 일제 강점기 조사 후 관대 위에 놓은 목함(木函) 내부에서 한 사람 개체분의 유골이수습되었다. 유골의 자연과학적인 분석 결과 고령의 남성으로 확인되었으며, 연대측정결과 백제 제30대 무왕에 가깝다는 결과도 발표되었다.
    본 논문은 쌍릉과 관련한 문헌자료 및 일제강점기 발굴조사 자료의 검토와 최근 이루어진 대왕릉의 발굴조사에서 확인된 정보의 검토를 통해 익산 쌍릉의 성격을 새롭게 조명하였다. 문헌자료 검토 결과, 과거 쌍릉은‘마한의 시조’ 혹은 ‘백제 무왕’의 무덤으로 인식되었으며, 일제강점기인 1917년 조사 후에 비로소 백제 사비기왕릉급 무덤으로 인식의 전환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2017년 대왕릉 재조사 내용 검토 결과, 대왕릉은 야트막한 구릉 능선 정상부의 입지, 지상에 거대한 규모의 봉분 조성에 판축기법의 토목공법 적용 등 사비기 부여 능산리고분군의 왕릉과는 다른 양상과 함께 석실구축에 중국 남조척(南朝尺)의 사용 가능성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21m에 달하는 장엄한 묘도와 살아생전미리 무덤을 만드는 수릉(壽陵) 가능성도 제시하였다.
    이번 대왕릉의 재조사로 확인된 새로운 자료가 백제 사비기 왕릉 구조 및 횡혈식석실에 대한 기존 인식을 벗어나 이해의 폭을 넓히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영어초록

    During the age of Japanese oppressive occupation, the Japanese colonial government destroyed many relics scattered all over the country for the purpose of justifying the colonial rule. After a century has passed since then, many of the relics surveyed at that time were newly investigated by the hands of the Korean scholars who have found and revealed new facts including particularly those of the Twin Royal Tombs in Iksan.
    The Twin Royal Tombs are located at the lower hills around the west-end ridge of Mt. Ohgeumsan (180m above sea level), with two round-shaped tombs (the great tomb and the small tomb) 180 m apart in parallel from each other in the south-north direction. During the re-examination of the great tomb in 2017, the remains of one individual were gathered from the inside of the wooden box which had been placed on the shelf after the survey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gether with new data showing the structure of the royal tombs during the Sabi period of Baekje Kingdom. The scientific analysis of the ashes from the remains confirmed that it was an older man's. The result of the dating was also announced suggesting that the man is likely to be King Mu, the thirtieth king of Baekje Kingdom.
    The present paper spotlighted again the nature of the Twin Royal Tombs in Iksan by reviewing the literature and documents related to the Twin Royal Tombs, including the data, materials and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excavation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age as well as from the excavation research of the great tomb conducted recently. From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and materials, it was made known that, in the past, the twin tombs were believed to be the ones for 'the founder of Mahan' or 'the King Mu of Baekje Kingdom'. But just after the survey in 1917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rule, it was recognized as the tombs of the royal family members during the Sabi period of Baekje.
    The reexamination of the great tomb in 2017 showed that it is located around the top of the low ridge line and Banzhu (版築) technique was applied to construct the mound of grand scale over the graves on the plain area, which is different from the style of the royal tombs found in the old tombs cluster in Neungsan-ri of Sabi period, implying the possibility that the scales of the China's Southern Dynasty were employed when constructing the stone chambers. In addition, the possibility was also raised that the majestic tomb road of about 21m long was constructed and the tomb for life (壽陵) was built before death.
    I hope that the new data obtained from the re-examination of the great tomb could help to broaden the scope of our understanding beyond the existing perception of the structures of the royal tombs and tunnel stone chamber tombs during the Sabi period of Baekje Kingdo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