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전후 일본영화에서 한센병 재현: <모래그릇(砂の器)>을 중심으로 (Portrayal of Hansen’s Disease in Post-war Japanese Films: Focusing on )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19.11
21P 미리보기
전후 일본영화에서 한센병 재현: &lt;모래그릇(砂の器)&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 8권 / 4호 / 29 ~ 49페이지
    · 저자명 : 정충실

    초록

    이글에서는 당시 호평을 받았으며 흥행에도 성공한 영화 <모래그릇>을 통해 1970년대 일본에서 한센병 인식의 일단을 알아보려 한다. <모래그릇>에서는 줌인과 줌아웃을 이용하여 한센병 감염자의 모습을 아름다운 자연풍경에 대비시켜 한센병 감염자를 사회의 이물로 설정하고 있다. 한센병 감염자의 신체는 혐오스러우면서도 극단적으로 변화한 것으로 재현되어 있으며 한센병 감염자는 제대로된 인격과 지성을 부여받은 인간으로서도 재현되어 있지 않다. <모래그릇>에서 한센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은 파시즘기에 만들어진 1940년대의 영화에서와 별다른 차이가 없는데 이는 전후의 일본 사회가 전전에 구성된 한센병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계승했기 때문이었다. 비슷한 시기 한국 영화와 비교를 통해서는 한센병 감염자가 부정적으로 유사하게 재현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는데, 이는 제국일본의 역사를 공유했고 해방 후 혹은 전후에도 일본 사회와 한국 사회는 공통적으로 동질적 국민의 형성을 강조하여 타자를 배재하였기 때문이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explore a facet of the perception of Hansen’s diseases in Japan during the 1970s through the film, <The Castle of Sand>, which not only received favorable reviews but also was successful in the box office at the time. In <The Castle of Sand> zoom-in and zoom-out are used to contrast people with Hansen’s disease against the beautiful natural scenery, thereby designating them as foreign objects of the world. The bodies of people infected with Hansen’s disease are portrayed as if changed in extreme and repulsive ways, and they are not recreated as human beings endowed with proper personality and intellect. The negative perception of Hansen’s disease in <The Castle of Sand> does not differ much from that found in the films of the fascist era of the 1940’s, as the post-war Japanese society inherited the negative perception formed before the war. Through comparison with Korean films around the same time, we can confirm that people with Hansen’s disease are portrayed negatively in a similar light, since the history of Imperial rule was shared, and both Japanese and Korean society after liberation or wartime similarly excluded others by emphasizing the formation of a homogenous n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