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리, 다른 질서의 담지자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라캉의 여성 주체, 율곡의 유민( 流民 )- (The Multitude, the Bearers of a Different Order - Agamben’s Homo Sacer, Lacan’s Female Subject, and Yulgok’s Drifting People -)

5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3.12
59P 미리보기
무리, 다른 질서의 담지자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라캉의 여성 주체, 율곡의 유민( 流民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기독교철학회
    · 수록지 정보 : 기독교철학 / 38호 / 7 ~ 65페이지
    · 저자명 : 김동희

    초록

    본 연구는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 라캉의 여성 주체, 율곡의 유민의 구조 를 철학적으로 사유함으로써 그들을 다른 질서의 담지자로 구성하는 것이 목적이다. 방법론적으로 II장 아감벤의 호모 사케르에 대한 연구에서는 푸코 가 주권권력과 구분되는 서양근대정치의 표시로 제시한 생명관리권력을 아 감벤이 주권권력을 재소환하여 결합시킨 생명정치에 관해 논한다. III장 라 캉의 여성 주체에 대한 연구는 프로이트가 여성성과 여성의 남근소원을 오 이디푸스 신화에 근거한 서사로 해독한 것을, 라캉이 언어학의 관점에서 팔 루스(Φ)의 의미와 그 기능으로 재해석함으로써 팔루스와의 관계에서 남성 주체와 여성 주체로 구조화하는 성 구분 도식을 탐색한다. IV장 율곡의 유민 연구에서는 성경학( 誠敬學 )이 수기치인( 修己治人 )의 정치학임을 논하고, 성경의 정치학에 나타난 유속( 流俗 )과 사림( 士林 )이라는 두 정치적 위상을 좌표화하면서 사림 정치의 산림천택( 山林川澤 )의 언표를 유민의 관점에서 인간의 조건과 삶의 터전으로 재독해한다. 연구의 요점은 다음과 같다.
    아감벤은 서양 정치가 호모 사케르(벌거벗은 신성한 생명)를 근본으로 하고 호모 사케르의 재생산을 본래 활동으로 하는 생명정치임을 논구한 것 은 타당하나, 호모 사케르가 주권자의 예외 상태에 의해 결정된 배제적 포함 구조(예외 구조)와 다른 질서의 담지자일 수 있음을 탐색하지 못했다. 구조 적으로 호모 사케르의 예외 구조는 예외적 존재자인 대타자(거세되지 않은 원초적 아버지)에 의해 구성되는 라캉의 남성 주체의 전체 구조와 유비적 관 계를 갖는다. 남성 주체와 마찬가지로 라캉의 여성 주체는 그 전체 구조에 소 외되나, 그 구조와 다른 질서를 선택할 수 있는 비-전체 구조를 갖는다. 라캉 의 여성 주체에게 있어서 보편적 전체 구조를 구성하는 예외적 존재자 같은 것은 없고 그러한 전체 구조에 완전히 종속된 여성 같은 것도 없다. 이를테 면 남성 주체를 구조화하는 대타자는 여성 주체의 구조에서 결여를 가진(또 는 욕망하는) 존재자 - 거세된 아버지 S(Ⱥ) - 이므로 보편적 전체 구조의 내부에는 공백이 발생하고, 여성 주체는 S(Ⱥ)와 관계하면서 자신의 욕망을 추 가적으로 향유하는 다른 질서의 담지자이다. 이러한 비-전체 구조의 여성 주 체의 관점으로 볼 때, 유속의 왕과 권간( 權姦 ) 정치에 의한 취렴( 聚斂 )과 병 민( 病民 ) 제도 및 산림천택( 山林川澤 )의 무단 점유와 금지의 함정( 阱 )은 그 들의 결여(욕망)를 지시하는 S(Ⱥ)와 유사성을 가진다. 라캉의 여성 주체가 S(Ⱥ)와 관계하면서 추가적 향유를 누리듯이, 유민은 취렴과 병민 제도의 구 멍을 폭로하는 증상으로서 그 함정( 阱 )과 관계하며 다른 질서의 담지자로서 삶을 향유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organize Agamben’s Homo Sacer, Lacan’s Female Subject, and Yulgok’s Drifting People as bearers of a different order by philosophically thinking about their structure. Methodologically, Chapter II the study on Agamben’s Homo Sacer discusses the bio-politics in which Agamben resummons and combines the bio-power presented by Foucault as a sign of Western modern politics distinct from a type of previous sovereign powers. Chapter III the study on Lacan’s Female Subject pursues the matter that Lacan makes an investigation into the structure of Male and Female subject in their relationship with the Phallus by reinterpreting Freud’s decoding of ‘female sexuality and penis envy’ into a narrative based on the Oedipus myth into the meaning and function of Phallus(Φ) from the perspective of linguistics. Chapter IV the study on Yulgok’s Drifting People rereads the statement on San-Rim-Cheon-Taek( 山林川澤 ) of Sarim( 士林 )-politics into the condition of humanit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Drifting People with discussing the science of Seong-Gyeong( 誠敬學 ) is the politics of Sugi-Chiin( 修 己治仁 ) and orientating two political statuses called Yusok( 流俗 ) and Sarim( 士 林 ) respectively. The main point in this research is as follows.
    It makes senses that Agamben argued that Western politics is the bio-politics based on Homo Sacer (a bare sacred life) and that the reproduction of Homo Sacer is its original activity, but he did not explore that Homo Sacer could be the one of the carriers of a different order from the exclusive inclusion structure (exceptional structure) by the sovereign’s decision on the state of exception. This Homo Sacer’s structure has a analogous relationship with the total structure of Lacan’s male subject, which is composed of an exceptional being, the Other(the primary father uncastrated). Like the male subject, Lacan’s Female Subject is alienated from the total structure, but has a non-total structure that can choose a different order from that structure. For Lacan’s Female Subject, there is no such thing as an exceptional being that constitutes the universal overall structure, and there is no such thing as a woman who is completely subordinated to that structure; that is, inside the universal overall structure there is a split in that the Other who structures the male subject is the lack(or desire) - a castrated father S(Ⱥ), and the Female Subject is a bearer of a different order in such a way that she enjoys ‘a supplementary jouissance’ while related to S(Ⱥ). From the perspective of the Female Subject orienting this non-whole structure, the trap( 阱 ) for trespassing on and prohibiting from San-Rim-Cheon-Taek( 山林川澤 ) by the king and the faction of treacherous retainers( 權姦 ) following the politics of Yusok( 流俗 ) is analogous to S(Ⱥ), which indicates their lack (or desire). Just as Lacan’s Female Subject enjoys ‘a supplementary jouissance’ in her relation with S(Ⱥ), as a symptom of the exploitation and the social evil of the national system the Drifting People can enjoy life as a bearer of another order, related to the trap ( 阱 ).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기독교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0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