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팔레스타인 장벽들을 사유하는 방식: 사하르 칼리파의 『뜨거웠던 봄』 연구 (The Way of Thinking the Palestinian Walls: A Study on Sahar Khalifeh’s The End of Spring)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1.06
21P 미리보기
팔레스타인 장벽들을 사유하는 방식: 사하르 칼리파의 『뜨거웠던 봄』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인문예술학회
    · 수록지 정보 : 인문과 예술 / 10호 / 69 ~ 89페이지
    · 저자명 : 김인숙

    초록

    본 논문의 목적은 사하르 칼리파(Sahar Khalifeh)의 뜨거웠던 봄(Rabī ḥārr, 영문 제목: The End of Spring, 2004)에서 팔레스타인 문제를 사유하는 방식의 특징을 고찰하는 데 있다. 뜨거웠던 봄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정부의 수반(首班)을 공격하고, 난민촌을 파괴하면서 분리장벽을 건설하던 2002년 전후를 배경으로 삼았다. 사춘기에 접어든 마흐무드와 가수를 꿈꾸는 대학생 마지드 형제를 중심으로,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삶에 실제 사건들이 어떻게 틈입하는가를 볼 수 있는 소설이다. 본 연구에서는 소설에 나타난 ‘팔레스타인의 장벽들’을 분석적으로 독해함으로써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처한 여러 가지 문제 상황을 동시적으로 사유하고자 한다. 팔레스타인에는 세가지 층위의 장벽들이 있다. 첫 번째는 이스라엘이 세운 ‘분리장벽’이다. 이 장벽은 이스라엘의 안보를 위해 ‘무고한 시민들’과 ‘테러리스트’를 나누는 장벽이다. 두 번째 장벽은 팔레스타인 여성들을 둘러싼 장벽이다. 팔레스타인 남성들에게는 이스라엘이라는 ‘하나의 장벽’만 있지만, 여성들에게는 여러 겹의 장벽들이 있다. 세 번째 장벽은 ‘팔레스타인 사람들’과 거기에포함될 수 없는 ‘비-국민’ 사이에 놓인 장벽이다. 팔레스타인 사회의 ‘집시’에 초점을 맞추어볼 때, ‘국민’의 울타리 바깥에서 차별과 배척을 당하는 이들이 두드러져 보인다. 이 글의 마지막에서는 장벽에 맞선 ‘순교’ 혹은 ‘테러’라고 불리는 폭력 행위의 의미를 고찰한다. 문학적형상화로 입체감을 얻은 ‘폭력’의 문제는, 옳고 그름이라는 이분법을 넘어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문제를 사유할 수 있는 ‘깊이’를 제공해 준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way of thinking about the Palestinian problem in Sahar Khalifeh’s Rabī ḥārr (English title: The End of Spring, 2004). The End of Spring is a novel set around 2002, when Israel attacked the head of the Palestinian government, destroyed refugee camps, and built the separation barriers. The story revolves around two brothers, Majid, a college student who dreams of becoming a singer, and Ahmad, a sensitive boy entering puberty. We can see how real events intervene in the lives of two brothers and the Palestinians.
    This study aims to simultaneously examine the various problem situations faced by Palestinians by analytically reading the “Palestinian walls”. There are three layers of walls in Palestine. The first is “the separation barrier” built by Israel. This wall is a barrier that separates “innocent citizens” from “terrorists” for Israel’s security. The second wall is the barriers surrounding Palestinian women. For Palestinian men there is only one “barrier” of Israel, but for women there are multiple barriers. The third wall lies between the “Palestinians” and the “non-people” that cannot be included. When we focus on the ‘Gypsies’ of Palestinian society, those who are discriminated against and excluded from outside the boundaries of the ‘people’ stand out. At the end of this article, we examine the meaning of acts of violence called “martyrdom” or “terrorism” against the separation barrier. The problem of “violence,” which has gained a three-dimensional effect through literary imagery, goes beyond the dichotomy of right and wrong, and provides a “depth” to think about the Palestinian-Israeli issu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인문과 예술”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