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나가르주나와 스피노자 -사유의 극단, 초월론적 세계관의 극복- (Nāgārjuna and Spinoza: The Extremes of thought, the Overcoming of the Transcendental World View)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5.03
24P 미리보기
나가르주나와 스피노자 -사유의 극단, 초월론적 세계관의 극복-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82권 / 53 ~ 76페이지
    · 저자명 : 박대용

    초록

    이 논문을 쓰는 목적은 불교의 한 갈래인 중관철학에서 바라본 세계관과 우주관을 서구의 현상학적 이해를 통해 고찰하기 위함이다. 초기 불교와 아비달마 불교에서는 우리의 몸과 세계를 “5온 12처 18계”로 하는 구성주의적 세계관을 제시하였다. 반면 중관철학의 창시자인 나가르주나(Nāgārjuna)는 이러한 설일체유부의 ‘삼세실유와 법체항유의 다르마 존재론’이나 바이쉐시까학파의 6범주론과 같은 구성주의적 세계관을 해체하고 모두 거부하였다. 그는 “모든 것은 연기하므로 본질을 갖지 않으며 공이다”라고 하는 ‘공적(空的) 세계관’을 표명하였으며, 언어에서 가립된 희론(prapañca)의 속성을 지닌 세속적 존재(=세속유)와 희론이 적멸된 승의적 존재(=승의유)가 빚어내는 환원 불가능한 초월론적 이원론의 세계관(=이제설)을 새롭게 주창하였다. 이 이원론적 세계관은 일체의 본성을 무자성(niḥsvabhāva)’과 ‘공성(śūnyatā)’으로 규정하는 공적 세계관이어서 세속유를 방편의 가설적 존재(=가설유)로 모두 격하시키고 마침내 절대공의 세계로 나아가게 된다.
    한편 중관철학은 그 형성 초기부터 “연기·무자성·공·중도”의 핵심 이념을 내세웠다. 그런데 무엇 때문에 이 중관철학은 허무주의(니힐니즘)라고 하는 합당치 못한 주홍글씨의 오명을 덮어 쓰게 되었을까? 중관철학의 귀류 논증은 서구의 귀류 논법과 유사한 방식인데, 즉 대론자의 주장을 끌어와 그 안에 내포된 오류와 모순을 드러내어 대론자의 주장 자체를 무화 해체해 버림으로써 자신들의 논지를 명석판명하게 하는 방식이다. 그렇지만 이와 달리 논자는 본고에서 스피노자의 신즉자연(神卽自然) 사상을 비롯한 서구의 현상학 이념을 끌어와 나가르주나의 중관철학 세계관과 우주관을 이해하기 위한 방편으로 삼았다. 이러한 검토를 통해, 논자는 스피노자가 신의 무한절대성을 이용해 능산(能産)과 소산(所産)의 자연의 이치로 지평을 확대하려고 한 것은 나가르주나의 절대 부정을 통한 절대 긍정과도 그 맥이 닿아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어초록

    This paper uses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examine the world and universe from the perspective of Mādhyamaka, a branch of Buddhist philosophy. Early Buddhism and Abhidharma Buddhism proposed a constructivist worldview that describes the human body and the external world as the “five skandhas, twelve āyatanas, and eighteen dhātus.” However, Nāgārjuna, the founder of Mādhyamaka—celebrated for his eight types of investigations—rejected and deconstructed all constructivist worldviews, including the “Dharma ontology of the Three Seil and the Legal Portability” of Confucianism and the six categories of the Vaiśeṣika school. He described a “world of acting,” asserting that “nothing has an essence because it acts and is a sphere of action.” He introduced the [二諦說] worldview of irreversible transcendental dualism, wherein prapañca (conceptual proliferation) is separated from language and rationalism is extinguished. This dualistic view reduces the secular realm to a universal hypothetical existence—grounded in the principle that “niḥsvabhāva” (no intrinsic nature) and “śūnyatā” (emptiness) constitute “the nature of all things”—ultimately moving toward absolute emptiness.
    Yet did Mādhyamaka philosophy initially uphold the ideology of “acting, selflessness, universality, and moderation”? And how did it come to be branded with the misplaced stigma of nihilism? The debate over Mādhyamaka’s “regression” parallels similar arguments in Western philosophy, where one exposes an opponent’s position and dismantles it by revealing its errors and contradictions. In this context, the argument invokes Spinoza’s notion of 神卽自然 (the divinity of nature) as a way to interpret Nāgārjuna’s Mādhyamaka worldview. In other words, it suggests that Spinoza’s effort to expand the horizon of 能産 (productive capacity) and 所産 (produced phenomena) through God’s infinite absoluteness aligns with Nāgārjuna’s method of absolute affirmation achieved through absolute neg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