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메타버스 공간의 아우라와 시뮬라크르 인지 구조 (The Aura and Simulacre Cognitive Ctructure of the Metaverse Space)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5 최종저작일 2023.10
14P 미리보기
메타버스 공간의 아우라와 시뮬라크르 인지 구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8권 / 7호 / 285 ~ 298페이지
    · 저자명 : 임현정, 조택연

    초록

    (연구배경 및 목적) 헤르만 허세(Hermann hesse) “인간이 두려워하는 대상은 한 가지 뿐이다. 몸을 던지는 것, 미지의 세계로 뛰어들기, 안전했던 모든 것을 뿌리치고 훌쩍 몸을 던지는 것이다.” 인간은 두렵지만 미지의 세계를 갈망한다. 본 연구는 메타버스 환경의 시각적 인지 구조를 탐구하며, 아우라와 시뮬라크르라는 철학적 사유의 체계를 중심으로 다양한 인지적 접근을 검토한다. 메타버스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과 함께 생긴 새로운 가상공간으로, 그 내부에서의 인지 과정은 전통적인 3차원 세계와는 다르게 작동한다. 아우라는 예술 작품이나 물체가 지니는 독특한 존재감을 의미하는 반면, 시뮬라크르는 현실의 모방품이나 대체품을 지칭한다. (연구방법) 메타버스의 시각적 요소들이 어떻게 아우라와 시뮬라크르의 특성에 영향을 받는지, 그리고 사용자의 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깊이 있는 분석을 하며, 여러 선행 연구를 통해 아우라와 메타버스의 인지적 특성을 모색하고, 메타버스 내의 시각적 요소들이 현실적인 아우라를 재현하려는 시도와 시뮬라크르의 형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첫째, 아우라가 뇌에서 어떻게 처리되는지 분석하며, 어떠한 감각적 경로로 공간적 해석을 하는지 현대적 관점에서 재구성한다. 둘째, 시뮬라크르의 개념을 중심으로 공간적 특성을 사례 연구를 통해 살펴본다. 세번째, 현실 공간에서 느껴지는 원본의 압도감을 아우라 관점에서 분석하고, 메타버스와 같은 가상 공간에서의 시뮬라크르 또한 조형적 Corpus로 재해석한다. 이러한 Corpus를 미드저니 Prompt에 적용하여 결과를 분석하고, 설문 조사를 통하여 입증한다. (결과) 설문 조사 결과를 통해 도출된 결론에 따르면,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현실을 단순히 모방한 시뮬라크르 형태의 공간 디자인에 대해 큰 호감을 가지지 않았다. 그러나 현실에서 벗어난, 환상적인 아우라를 지닌 공간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높은 호감도를 보였다. 특히, 이러한 환상적인 아우라와 현실적인 시뮬라크르 요소가 결합된 공간 디자인에서는 참여자들이 가장 높은 호감도를 나타냈다. 즉, 현실을 단순 복제한 가상 공간보다는, 아우라의 깊은 울림을 주는 조형적 요소가 추가되었을 때 사람들이 가장 큰 호감을 느끼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결론) 메타버스는 디지털 환경에서 존재하는 가상 세계로, 그 안에 담긴 '아우라'는 매우 독특하다. 실제 세계는 물리적 제약과 시간, 장소에 의해 한정되지만, 가상 세계는 비교적 자유롭다. 또한 가상 세계는 사용자가 직접 공간을 구성하고 변화시킬 수 있는 능동적인 성격을 가진다. 이는 공간이 가지는 아우라의 근본적 영향이 미치며, 그곳에서의 상호작용과 경험을 풍성하게 만든다.

    영어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Hermann Hesse once said, 'The only thing humans fear is to throw themselves, to leap into the unknown, to cast away all that was safe and plunge.' Humans are fearful, yet they yearn for the unknown. This study delves into the visual cognitive structure of the metaverse environment, examining various cognitive approaches centered around the philosophical systems of aura and simulacra. The metaverse is a new virtual space born alongside the advance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the cognitive process within it operates differently from the traditional 3D world. While 'aura' refers to the unique presence or essence an artwork or object possesses, 'simulacra' denotes imitations or substitutes of reality." (Method) The visual elements of the metaverse are influenced by the characteristics of aura and simulacra, and they impact users' perception. This in-depth analysis explores the cognitive characteristics of aura and the metaverse through various precedents. It demonstrates the process by which visual elements in the metaverse attempt to reproduce a realistic aura and transition into forms of simulacra. First, it analyzes how the aura is processed in the brain and reconstructs how sensory pathways interpret space from a modern perspective. Second, it examines spatial characteristics centered around the concept of simulacra through case studies. Third, it analyzes the overwhelming presence of the original in real space from the perspective of aura and reinterprets the simulacra in virtual spaces like the metaverse as a sculptural Corpus. This Corpus is applied to a mid-journey Prompt, the results are analyzed, and they are verified through surveys. (Results) Based on the survey results, the majority of participants did not have a strong affinity for space designs that merely mimic reality in the form of simulacra. However, they showed a relatively high preference for spaces possessing a fantastical aura that diverges from reality. Especially, space designs that combined this fantastical aura with realistic simulacrum elements were the most favored by the participants. This suggests that people feel the greatest affinity not for virtual spaces that simply replicate reality, but for those infused with artistic elements that resonate deeply with an aura. (Conclusions) The metaverse is a virtual world that exists within a digital environment, and the 'aura' it contains is very unique. While the real world is constrained by physical limitations and by time and place, the virtual world is relatively free. Moreover, the virtual world has an active nature where users can directly construct and modify the space. This fundamentally influences the aura of the space, enriching interactions and experiences within i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