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학 여자 유도선수의 상해 조사 연구 : 상해 부위, 유형, 처치 실태와 발생률 (A Study on Injuries among Aollegiate Female Judo Athletes: Location, Type, Treatment, Status, and Rates of Injury)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8.06
9P 미리보기
대학 여자 유도선수의 상해 조사 연구 : 상해 부위, 유형, 처치 실태와 발생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코칭능력개발원
    · 수록지 정보 : 코칭능력개발지 / 20권 / 2호 / 60 ~ 68페이지
    · 저자명 : 허용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 여자 유도선수의 상해실태 조사와 분석을 통하여 선수와 지도자의 안전한 훈련과 시합 운영 그리고 상해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연구 대상은 2016년도 대한체육회에 대학 여자 엘리트 유도선수로 등록된 135명중 정상적으로 훈련에 참여하고 있었던 선수 85명이다. 자료조사는 설문지를 통해서 이루어졌으며, 설문지는 일반사항 5문항, 상해 관련 7문항, 처치 관련 9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자료 분석은 SPSS 22.0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초통계, 독립 t-test를 수행하였으며, 상해 발생률은 참가 1,000시간당 상해 발생률로 계산되었다. 연구결과 상해 경험 선수는 63명(74.1%)이었고, 총 상해 발생 빈도는 177회였다. 상해 상황은 훈련 중이 130회(73.4%), 상해 부위는 무릎 55회(31.1%), 어깨 37회(20.9%)로 나타났으며, 상해 유형은 인대 손상이 83회(46.9%)로 가장 많았고, 탈구 43회(24.3%)로 나타났다. 상해 유발 동작은 손기술과 발기술이 각 55회(각 31.1%)로 나타났다. 상해 경험자 중 38명(60.3%)이 병원치료를 시행하였으며, 완쾌까지의 기간은 8주 이상이 28명(44.4%)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다. 또한, 41명(65.1%)이 응급처치를 시행 받았고, 이 중 15명(36.6%)이 전문 의료인에게 응급치료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응급처치 방법은 냉찜질이 21명(51.2%)로 가장 높은 빈도를 나타냈고, 상해 후유증은 52명(82.5%)이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여자유도선수의 1,000시간당 상해 발생률은 0.647이었으며, 저 경력 그룹은 0.644, 고 경력 그룹은 0.650, 우수 선수 그룹은 0.675, 비 우수선수 그룹은 0.524로 나타났으나 경력과 수준별 상해 발생률 평균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대상의 연령을 다양화하여 연령 증가, 규정 변화, 지도와 훈련방법 등의 요인과 상해 발생률의 관계를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that can help promote the prevention of injuries among women playing collegiate judo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actual patterns of injury within the target popul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85 of the 135 female judoka registered with the Korean Sports and Olympic Committee and actively training in 2016. Data was collected through questionnaires which consisted of five general items, seven items related to injury, and nine items related to treatment.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basic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in SPSS (version 22.0K).
    The rate of injury was calculated as the incidence per 1,000 hours. The results showed that 63 (74.1%) had experienced injury with a total of 177 reported injuries with 130 occurring during training (73.4%). The most commonly injured areas were knees (55 reports, 31.1%) and shoulders (37 reports, 20.9%). The most commonly reported injuries were sprains (83 reports, 46.9%), and dislocations (43 reports, 24.3%). The causes of injury were equally split between hand skills and foot skills at 55 reports each (31.1%). Regarding treatment, 38 persons (60.3%) experienced hospitalization with 28 requiring more than eight weeks of care (44.4%) until complete recovery. Furthermore, 41 persons (65.1%) received first-aid, among them 15 (36.6%) received said care from a specialist. First-aid with cold-packs (ice) was the most commonly reported course of treatment (21 reports, 51.2%). There were 52 reports (82.5%) of injury-related aftereffects.
    Overall, the injury rate per 1,000 for women judoka at the university level was 0.647. With regard to career experience and performance level (respectively), the rates were 0.644 for novices versus 0.650 for experienced players, and 0.524 for low-performing players versus 0.675 for high-performing player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average injury incidence for either career and performance level groupings. Future studies should diversify the ages of the subjects.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age, changes in regulations, coaching and training methods, and injury incid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코칭능력개발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