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습률의 변화과정과 축제로서의 복원 가능성 재고 (Exploring the Evolution of Chestnut Scavenger Hunts and Reevaluating Their Potential for Restoration as a Festival)

1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3.11
14P 미리보기
습률의 변화과정과 축제로서의 복원 가능성 재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융합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와융합 / 45권 / 11호 / 323 ~ 336페이지
    · 저자명 : 한남수

    초록

    밤줍기대회 ‘습률(拾率)’은 일제강점기 근대축제의 면모를 보여준다. 습률대회는 1921년 의정부역 근처에서 열렸고, 밤나무 숲 사유지를 개방하면서 10월의 연례행사로 발전한다. 활동의 적극적인 참여와 여흥을 위해 권번의 기생이 참여해 춤과 노래, 신파극을 선보였다. 밤줍기는 1933년과 1934년 안양지역에서 ‘여성밤줍기대회’로 명칭을 바꾸어 개최됐다. 대회 주최 기관은 초기 매일신보에서 조선일보, 동아일보와 신가정(新家庭)의 잡지사로 바뀌면서 시대적 변화에 응수했다. 일본 해외 유학파 여성들(근우회) 이 주요 참여자로 등장했다. 의정부를 중심으로 경기 일대에서 열린 밤줍기 대회는 1938년을 마지막으로 막을 내렸다. 2020년 미군기지 반환이 가시화되면서 의정부 지역정부도 숙원사업인 문화복원과 문화공간 활성화에 동분서주하고 있다. 이 글은 의정부 지역의 문화자원 발굴과 확대에 맞추어 일제강점기 밤줍기 대회 현황을 분석하고 지역축제로서의 가능성을 공론화하는 데 기초를 제공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chestnut picking play ‘Ssupyul’ shows the aspect of modern festivals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 'chestnut picking' competition was held near Uijeongbu Station in 1921.
    It developed as an annual event in October by opening private chestnut tree forests. Active participation in activities and entertainment were encouraged, with geishas affiliated with the association presenting dance, song, and new faction drama. The chestnut picking event was renamed and held as the ‘Women's Chestnut Picking Competition’ in the Annyang area in 1933 and 1934. The organizing institution of the competition responded to the changing times, transitioning from ‘Maeil Shinbo’ to ‘Chosun Ilbo’, ‘Dong-A Ilbo’, and the magazine company Shin Gajeong. Japanese overseas study women emerged as main participants, beginning to raise various voices. The chestnut picking competition held in Gyeonggi area centered on Uijeongbu came to an end in 1938. With the visibility of base return in 2020, theUijeongbu local government is also actively working on the long-desired project of cultural restoration and activation of cultural space.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a foundation by analyzing the status of the chestnut picking competition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period and publicizing the possibility as a local festival, aligned with the excavation and expansion of cultural resources in the Uijeongbu are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화와융합”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