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여성의 초경개시 임계 체중과 체지방률 (Minimal weight and body fat percentage in relation to the onset of menarche in Korean females)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05.04
9P 미리보기
한국여성의 초경개시 임계 체중과 체지방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10권 / 2호 / 196 ~ 204페이지
    · 저자명 : 정은숙, 임현숙, 이정아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 여성의 초경 전후 체위와 체조성을 조사하고 또한 초경개시 임계 체중과 체지방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전남 목포에 위치한 S 초등학교의5~6학년에 재학 중인 11~13세 여학생 101명이었다. 이들 연구대상자들을 초경개시여부에 따라 초경전군(Pre군, n = 25명) 및 초경후군(Post군, n = 76)으로 나누었고, Post 군을 다시 월경횟수에 따라 Post-Ⅰ군(1~3회, n = 26명), Post-Ⅱ군(3~6회, n = 19명), Post-Ⅲ군(7~9회, n = 16 명) 및 Post-Ⅳ군(10회 이상, n = 15명)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연령은 Pre군과 Post군 각각 11.7 ± 0.5 세와 11.7 ± 0.6세로 동일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체위와 체조성은 두 군간에 크게 달라 신체발육과 체조성 변화가 초경개시와 관련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Post군이Pre군에 비해 체중은 12.1 kg (46.8 vs 34.7, p < 0.001) 무거웠고,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및 허벅지둘레는 각각 7.8 cm (67.4 vs 59.6, p < 0.001), 9.3 cm (85.9 vs 76.6, p < 0.001) 및 7.2 cm (49.9 vs 42.7, p < 0.001) 컸고, 체지방률은 6.5% (22.8 vs 16.3, p < 0.001) 높았고, 체지방량은 5.2 kg (11.1 vs 5.9, p < 0.001) 많았으며, LBM은 6.8 kg (35.7 vs 28.9, p < 0.001) 많았다. 신장은 9.2 cm (152.9 vs 143.7, p > 0.05) 컸지만 유의한 차이가 아니었고, WHR (0.78 vs 0.79)은 동일하였다.
    본 연구대상자의 체중은 이들의 체지방률(r = 0.85, p < 0.001) 및 체지방량(r = 0.92, p < 0.001)과 고도의 정 상관을 보였다. 그러나 신장은 체중(r = 0.64, p < 0.001)과는 비교적 높은 정 상관을 나타냈지만 체지방률(r = 0.26, p < 0.01)이나 체지방량(r = 0.40, p < 0.001)과는 상대적으로 낮은 정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체중이, 신장에 비해, 체지방 상태를 보다 잘 나타낸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BMI가 신장(r = 0.27, p < 0.01)과는 낮은 상관성을보인 반면에 체중(r = 0.91, p < 0.001), 체지방률(r = 0.95, p < 0.001) 및 체지방량(r = 0.94, p < 0.01)과 고도의 정상관을 보인 점은 성장기에 있어서도 BMI는 신장의 변화보다 체중 변화에 민감하다는 점을 시사해주었다. 허리둘레, 엉덩이둘레 및 허벅지둘레도 신장보다는 체중, 체지방률 및 체지방량과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한편 WHR은 신장과는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고 체중과의 관련성도 낮았다.
    본 연구대상자에서 초경개시 임계 체중은 41 kg이고, 임계 체지방률은 17~19%라고 판단되었다. 초경개시 임계수준으로 체중을 사용하면 sensitivity와 negative predictive value가 높으며 이에 비해 체지방률은 specificity와 positive predictive value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체지방률17%는 초경개시 임계수준으로서 신뢰도가 충분하다고 평가되나 민감도가 낮으므로 17~19%의 범위로 표현하는 것이보다 타당하다고 생각되었다

    영어초록

    Menarche is a main indicator of sexual maturity which relates to a reproductive function. The onset of the menstrual cycle differs individually and is influenced by many variables such as socio-economic situation, race, genetics, climate, altitude, nutritional status, and physical growth. Among them physical growth has been known to be the most influencing factor, particularly when expressed as body fat designated by weight. This study intended to investigate the body composition of girls around the menarche period and to evaluate the minimal levels of weight and fat percentage needed for the onset of menarche. A total of 101 female subjects, aged 11 to 13 years, were recruited from the 5th and 6th grades of an elementary school, in Mokpo, Korea. The subjects were placed into one of two groups Pre-menarche and Postmenarche group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with menarche. Thereafter, the subjects in the Post-group were placed into 4 subgroups based on the number of menstruations they experienced: Post-I (1 - 3 times), Post-II (4 - 6 times), PostIII (7 - 9 times), and Post-IV (> 10 times). The average age at the onset of menarche of the subjects in Post groups was 11.2 ± 0.6 yea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ata of anthropometry and body composition between the Pre and Post groups, although the mean ages of both Pre and Post groups were the same. Weight, waist, hip and thigh girths, fat percentage, and lean body mass of the Post group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Pre group. Height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Weight was highly correlated with body fat mass (r = 0.92, p < 0.001), fat percentage (r = 0.85, p < 0.001), and body mass index (r = 0.91, p < 0.001).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eight, compared with height, reflects body composition well and influences the onset of the menstrual cycle. It could also be suggested that the minimal weight and fat percentage needed for the onset of menarche in Korean females are 41 kg and 17% to 19%, respectively.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0(2): 196 ~ 204, 200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