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善律還生’ 이야기에 나타난 죄와 구원 (Sin and Salvation in the Story ‘Sŏnyul comes back to life’(Sŏnyul Hwansaeng 善律還生))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8.12
26P 미리보기
‘善律還生’ 이야기에 나타난 죄와 구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진단학회
    · 수록지 정보 : 진단학보 / 131호 / 25 ~ 50페이지
    · 저자명 : 나희라

    초록

    선한 행위를 하면 극락에 가고, 악한 행위를 하면 지옥에 간다는 불교의 가르침은 불교를 받아들인 사람들에게 삶의 원리를 제공해주는 것이었다. 일반인들에게 이러한 가르침은 주로 이야기나 이미지를 통해 전달되었다. 『삼국유사』의 ‘선율환생’ 이야기는 바로 이러한 이야기이다. 지옥 이야기의 중요한 구성 요소를 잘 갖추고 있는 이 이야기를 통해, 불교가 성행했던 시기에 지옥의 가르침이 어떻게 일반인들에게 전달되었고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펴볼 수 있다.
    ‘선율환생’ 이야기에서는 경전을 제작하거나 持誦하는 것은 선행이고 사찰 재산을 도용하는 것은 악행으로, 악행은 지옥고라는 악과를 가져오는데, 이로부터 벗어나는 구원을 얻기 위해서는 도용한 사찰 재산을 돌려주고 佛事에 재물을 시주해야 한다고 가르치고 있다. ‘선율환생’ 이야기는 사원에서 주도하는 경전의 제작과 그 경전의 가르침을 이해하는 불교의례의 인연담으로 승려들에 의해 만들어져 전승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노래와 춤까지 곁들여서 연행되던 이러한 생생한 이야기에 공감한 사람들은 미래의 구원을 위해 기꺼이 불사에 재물을 내어놓았다.
    13세기 말 당시 불교 교단의 중심적 위치에 있었던 승려 일연은 옛 신라의 수도 경주에서 거행되던 불교의례와 그 인연담을 주목하고 이를 문자로 기록하여 자신이 편찬하던 『삼국유사』의 한 항목으로 넣었다. 일연은 과거 신라 시대를 배경으로 한 지옥 이야기를 통해 사찰 재산의 보호와 삼보에 대한 공양과 보시의 중요성을 말하였다. 이는 당시 사원 경제를 유지하고 확대함으로써 불교 교단의 정치사회적 권력을 유지하고자 했던 불교계의 입장, 특히 교단을 주도하고자 했던 일연 자신의 입장이 투영된 것이라 볼 수 있다.

    영어초록

    The Buddhist teachings that when they do good works they go to paradise and when they do evil acts they go to hell have provided people with the principles of life. These teachings were delivered to ordinary people mainly through stories and images. The narrative ‘Sŏnyul comes back to life’(Sŏnyul Hwansaeng 善律還生)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Samgukyusa 三國遺事) is the story of that kind. Through this story, we can see how the teachings of Hell have been communicated to the public and how they have affected.
    In the Story “Sŏnyul comes back to life” teaches the following. To produce, carry, or memorize scriptures is good, but to steal property of temple is bad. Bad deeds bring the pain of hell. In order to get relief from this, they should return the stolen property and contribute their possessions to the works at the temple. The Story “Sŏnyul comes back to life” seems to have been written by monks and been circulated as a karma tale of a Buddhist ceremony for the production of sutras and for appreciating the teachings of the sutras. In a story performed in a lifelike manner, sympathetic people willingly contributed their hearts and possessions to the temple for the sake of their own futures.
    The monk Iryŏn, who was at the center of the Buddhist world at the end of the thirteenth century, took notice of the Buddhist ceremony that was performed in Kyŏngju and its karma tale, recorded it in prose, and put it as an item in Memorabilia of the Three Kingdoms. He said that it is important to protect the property of the temple and to offer to the Three Jewels—the Buddha, Dharma, and Saṃgha—. This can be seen as a projection of the position of the Buddhist world to want to maintain the power by maintaining and expanding the temple economy, in particular Iryŏn’s position, which was intended to lead the Buddhist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진단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2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