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에서 간행된 대명률‘향본(鄕本)’에 대하여 (A Study on Korean Version(鄕本) of Daminglü(大明律))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6.04
27P 미리보기
조선에서 간행된 대명률‘향본(鄕本)’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법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법사학연구 / 53호 / 127 ~ 153페이지
    · 저자명 : 장경준

    초록

    대명률은 명(明)의 법전으로 1397년(홍무 30년)에 확정 반포되었다. 그 이전에 몇 차례의 개정이 있었지만 홍무율의 변화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는 매우 드물며, 현재 전하는 책의 대부분은 조선에서 간행된 것들이다. 그리고 『대명률부례』의 조선 간본에는 “향본(鄕本)”이라 하여 홍무30년율과 차이를 보이는 내용이 일부 소개되어 있다. 본고에서는 이 내용을 검토하여 향본에 부합하는 책을 소개하고, 향본의 텍스트와 홍무율의 관계에 대해 살펴본 다음, 대표적인 향본의 편찬과 간행에 대해 개략적으로 기술해 보았다.
    『대명률부례』에 언급된 향본에 완전히 부합하는 책은 『대명률직해』와 『대명률강해』이고, 고경박물관 소장 『대명률』, 『율해변의』, 『율조소의』 등도 향본의 내용을 일부 포함하고 있다. 현재 진행 중인 대명률 텍스트 대교 작업의 데이터를 분석해 보면, 향본에 해당하는 책은 반영된 홍무율의 시기에 따라 크게 세 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을 듯하다. 1그룹은 홍무18~19년율 이전의 것을 반영하고, 2그룹은 홍무22년율이나 홍무18~19년율을 반영하고, 3그룹은 홍무30년율을 반영하는 것으로 보인다.
    대명률을 이두로 번역한 『대명률직해』는 1395년에 원간본이 간행된 이후 16세기 중후반과 17세기 후반에 집중적으로 간행되었다. 대명률의 주석서인 『대명률강해』는 조선에서 편찬한 것으로 보이는데, 세종대에 처음 간행한 이후 16세기 후반까지 주석을 증보한 계통이 쓰이다가 18세기 후반부터 증보되기 이전의 원간본 계통이 널리 보급되었다. 조선에서 『대명률직해』와 『대명률강해』가 지속적으로 간행된 것은, 형사 사건의 처결에 대명률을 적용한 실무 현장에서 수요가 많았음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과거제의 실시와도 깊은 관련이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영어초록

    Daminglü, the legal code of Ming dynasty, was established and promulgated in 1397 (Hongwu (洪武) 30). It had been revised a few times before the promulgation but now there are scarcely any materials that show the changes of legal code in Hongwu era, and the remaining books are mostly published in Joseon. A version of Daminglüfuli (大明律附例) published in Joseon introduced the contents which have differences with the legal code of Hongwu 30 under the name of “Korean version (鄕本)”. We investigated the contents to find the books which have contents corresponding to Korean version,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xt of Korean version and the legal codes in Hongwu era, then briefly described the compilation and publishing of typical Korean versions.
    It turns out that Daemyeongryul-Jikhae and Daemyeongryul-Ganghae are the books corresponding to Korean version completely while Daminglü in possession of Gogyeong museum (古鏡博物館), Lüjiebianyi (律解辯疑), and Lütiaoshuyi (律條疏議) have some contents of Korean version. According to our comparison and recension of Daminglü texts in progress, the books corresponding to Korean version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groups by the periods of reflected legal codes in Hongwu era. Group 1 reflects the legal code before Hongwu 18~19, group 2 reflects the legal code of Hongwu 22 or 18~19, and group 3 reflects the legal code of Hongwu 30.
    Daemyeongryul-Jikhae, the Idu (吏讀) translation of Daminglü, had been originally published in 1395 then intensively published in the mid-to-late 16th and late 17th centuries. It seems that Daemyeongryul-Ganghae, an annotated version of Daminglü, was compiled in Joseon. After publishing of the original version in King Sejong era, the version including enlarged annotations had been used until late 16th century but the original version came into wide use again after late 18th century. The continuing publishing of Daemyeongryul-Jikhae and Daemyeongryul-Ganghae through the Joseon dynasty shows not only that there had been huge demand for these books in practical fields applying Daminglü on a criminal case, but also it had close connection to the enforcement of gwageo (科擧).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