으로 편찬되고, 제도 전반이 보다 유교주의적 중국체제로 변모를 본 것은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일이다. 고려말기에는 원의 『지정례격(旨正例格)』 이라는 법규가 시행되고 기타 행정법규 ... 도 상당히 정리되었던 것 같으며, 1392년(공양왕 4)에 정몽주가 『대명률(大明律)』과 『지정례격』을 참작하여 「신정률(新定律)」을 찬술했으며, 또 그보다 앞서 『주관육익(周官六翼 ... )』이라는 책이 편찬되기도 했으나, 모두 지금은 전해지지는 않는다.한편 조선은 창업 직후 명조의 법인 『대명률』을 한동안 의용 하게 된다. 태조가 1392년 즉위교서에서 명률의 의용
어서 백성들에게 선포하여 백성들과 함께 경사로 삼아야 한다.≪凡望賀之禮는 宜肅穆致敬하여 使百姓知朝廷之尊이니라.≫ 망하례는 엄숙하고 조용히 하여 경건을 다해서 백성들로 하여금 조정의 존엄 ... 하게 해야 한다.≪國忌에는 廢事不用刑하고 不用樂을 皆如法例이니라.≫ 나라의 제삿날에는 공무를 보지 않고, 형벌도 집행하지 않으며, 음악도 베풀지 않기를 모두 법례대로 해야 한다. 나라 ... 은 수령 법을 지키지 않음은 임금의 명령을 따르지 않는 것이 되는데, 신하로서 감히 그래서야 되겠는가. 책상 위에는 《대명률》한 권과 《대전통편》한 권을 놓아두고, 항상 보아서 조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