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복부대동맥류 치료의 임상적 고찰; 후복막 접근법과 경복막 접근법의 비교 (Clinical Study of the Treatments for Abdominal Aortic Aneurysm; Comparison between the Retroperitoneal and Transperitoneal Approaches)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09.02
7P 미리보기
복부대동맥류 치료의 임상적 고찰; 후복막 접근법과 경복막 접근법의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심장혈관흉부외과학회
    · 수록지 정보 : Journal of Chest Surgery / 42권 / 1호 / 34 ~ 40페이지
    · 저자명 : 손봉수, 정성운, 이상권

    초록

    배경: 1960년대 이래로 복부 대동맥류의 주된 수술적 접근 방법은 경복막 접근법이나, 최근에는 후복막 접근법을 이용한 향상된 수술 성적들이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후복막 접근법과 경복막 접근법의 비교에 대한 국내 연구는 제한적이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복부대동맥류로 진단 받고 수술적 대동맥 치환술을 받은 36명 중 후복막 접근법을 이용한 17명과 경복막 접근법을 이용한 19명의 수술 전 위험인자, 술 후 합병증, 수술 사망률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체 36명의 환자에서 수술사망의 위험인자를 조사하고 Kaplan-Meier 생존 분석을 이용한 술 후 장기 생존율 조사 하였다. 결과: 대상 환자 중 두 군간에 성별, 연령, 동반 질환의 유무, 흡연력, 파열 유무, 술 전 증상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며, 대동맥 재건술식, 수술시간 및 술 후 합병증의 발생빈도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후복막 접근법 군에서 술 후 금식 기간 및 비위관 제거 기간이 짧았으며(p<0.05), 중환자실 재실 기간에서도 경복막 접근법 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짧았다(p<0.05), 수술 사망은 총 6명(16.7%)이었으며 그 중 5명이 술 전 파열된 경우로, 단변량 분석에서 수술 전 1.8 mg/dL 이상의 혈중 크레아티닌 수치를 보이는 경우(p=0.016)및 파열된 복부 대동맥류(p<0.001)가 유의한 수술 사망의 위험 인자로 조사되었다. Kaplan-Meier 생존율 조사에서는 두 군간의 장기생존율의 차이는 없었으며 전체 환자의 5년 생존율은 57.5%였다. 결론: 본 연구 결과 후복막 접근법이 경복막 접근법에 비하여 중환자실 재실 기간이 짧고 술 후 금식 기간 및 비위간 거치 기간이 짧은 장점이 있었다. 따라서 후복막 접근법에 대한 특별한 금기가 없다면 후복막 접근법을 일차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Background: The principal surgical technique for treating an abdominal aortic aneurysm since the 1960s has been the transperitoneal approach, yet there have been some recent studies that have reported improved surgical results with using the retroperitoneal approach. However, there are only limited clinical Korean studies that have, compared between the transperitoneal and retroperitoneal approaches. Material and Method: This study included 36 patients who had been diagnosed as having an aneurysm of the abdominal aorta and they were surgically treated between January 2001 and July 2007. The patients were subdivided into the retroperitoneal approach group (n=17) and the transperitoneal approach group (n=19), and they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preoperative risk factors, the postoperative complications and the operative mortality. The risk factors of operative mortality risk and long-term survival for the 36 patients were assessed by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terms of gender, age, the underlying disease, a history of smoking, rupture of aneurysm, the preoperative symptoms, the operation time and the incidence of postoperative complications. However, the duration of postoperative fasting, the number of days of having an indwelling nasogastric tube and the length of the stay in the intensive care unit were significantly short for the retroperitoneal approach group (p<0.05). There was a 16.7% rate of operative mortality (6/36) and five of the deaths were attributed to preoperative ruptured aneurysm. On univariate analysis, a higher preoperative serum creatinine level (SCr ≥1.8 mg/dL, p=0.016) and ruptured aneurysm (p<0.001) were the significant risk factors of operative mortality. As assessed by the Kaplan-Meier method, the long-term survival was comparable between the groups and the five-year survival rate of all the patients was 57.5%. Conclusion: In the present study, a retroperitoneal approach has several advantages such as a shorter intensive care unit stay, a shorter duration of postoperative fasting and a shorter duration of an indwelling nasogastric tube. Therefore, unless there is any contraindication for a retroperitoneal approach, it could be considered as a primary surgical access for repairing an abdominal aortic aneurysm.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Journal of Chest Surgery”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7월 1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4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