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흑산도의 해조류 채취 관행 변화 고찰 -『玆山魚譜』의 배경, 사리마을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Change of Seaweed Collection Custom in Heuksando Island -For “Sari” Village, the background village of 『Jasaeobo』-)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0.06
33P 미리보기
흑산도의 해조류 채취 관행 변화 고찰 -『玆山魚譜』의 배경, 사리마을을 대상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남도민속학회
    · 수록지 정보 : 남도민속연구 / 40호 / 7 ~ 39페이지
    · 저자명 : 박종오, 송기현

    초록

    조선 후기 실학자 정약전은 흑산도(黑山島) 사촌(沙村)에 거주하면서 근해에 서식하는 어류(魚類)와 해조류(海藻類) 등을 기록한 『자산어보(玆山魚譜)』를 편찬한다. 『자산어보』는 조선시대 해양생물 연구서 중에서 가장 많은 55류 226종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아울러 문헌자료에만 의존하지 않고 지역 주민들의 전승지식을 바탕으로 해양생물과 관련된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흑산도에서 미역을 채취하던 공간은 마을 공동어장인 ‘똠’이다. ‘똠’은 마을어장의 일정 공간을 점유하여 자연산 해조류를 채취하고 분배하는 조직을 의미하기도 한다. 사리마을에서는 네 개의 ‘똠’이 있는데, 각각 7개씩의 바위를 관장한다. 흑산 해역에서 주로 생산되는 해조류는 미역인데, 1910년대 흑산 해역에서 산출된 미역 생산량은 전라남도에서 제일 많았다. 1960년대에도 여전히 미역은 흑산도 사람들의 삶에 중요한 자원으로 자리하고 있었다.
    ‘똠’을 기반으로 한 사리마을의 해조류 채취 관행에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 2000년대부터 시작된 다시마 양식으로 인해 생업 환경이 ‘단순 채취(採取)’에서 ‘채취(採取)와 양식(養殖)의 병행’으로 변화하고 있다. 또한 흑산 해역에는 『자산어보』에 등장하지 않던 다시마가 우점종으로 나타나는 변화를 보여준다. 아울러 공동체 구성원 숫자가 줄고 노령화되면서 ‘똠’ 관련 규율들도 조금씩 약화되고 있다. 환경의 변화와 생업 방식의 변화가 전통 해조류 채취 관행에도 변화를 주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Jeong Yak-jeon, a practical scholar of the late Joseon Dynasty, lived in Sari Village, Huksan island. He recorded fish and seaweed that lived in the nearby sea. The book is 『Jasaeobo』. 『Jasaeobo』 records the largest number of 55 Type and 226 species among marine life studies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It is noteworthy that it records local residents' knowledge of transmission.
    The area where seaweed was collected was ‘ttom’ jointly owned by the village. Ttom is also an organization that occupies a certain space jointly owned by the village to collect and distribute algae. In Sari Village, there are four 'ttom's, each of which controls seven rocks. In the sea near Heuksando Island, a lot of Seaweed is produced. Seaweed production in the 1910s was the highest in South Jeolla Province. In the 1960s, seaweed was still an important resource in the lives of the Heuksando people.
    Changes are taking place in the practice of collecting algae in Sari Village, which is based on 'ttom'. The biggest change is 'the parallel between the collection and the raise'. The kelp raise began in the 2000s. In the Heuksan area, kelp, which did not appear in the 『Jasaeobo』, shows the change in the appearance of the dominant species. Also, the number of community members decreased and grew old. So the rules related to 'ttom' are gradually weakening.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way of living are changing traditional seaweed collection practic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남도민속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