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최강창·낙조류 재산정을 통한 우리나라의 해역별 조류특성 분석 (The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idal Current Along the Coast of Korea Through the Recalculation of Maximum Current)

1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22.12
17P 미리보기
최강창·낙조류 재산정을 통한 우리나라의 해역별 조류특성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수로학회
    · 수록지 정보 : 해양공간정보학회지 / 11권 / 2호 / 17 ~ 33페이지
    · 저자명 : 박정식, 엄대용, 이방희, 김억동

    초록

    우리나라 조류관측 정보의 최강창·낙조류를 재산정하고 권역별 조류특성을 파악하였다. 1957년부터 관측된 국립해양조사원의 조류정보 2,260개 정점에 대해 주성분분석(PCA)과 인근 조위관측소의 조화상수를 활용하여 최강창·낙조류를 재산정하였고, 인접 정점과의 유사성과 정확도를 비교하여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오류데이터를 제외한 2,253개 정점 중 1,965개 정점이 신뢰도 기준을 충족하며 활용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활용 가능한 조류 정보를 대상으로 해양예보구역도의 광역 분류에 따른 권역별 최강유속, 유향, 왕복성 또는 회전성의 조류 특성을 제시하였다. 2 m/s 이상의 강유속은 황해중부(7.3%)와 황해남부(15.9%)에서 가장 많이 나타났고, 가장 강한 유속은 황해중부의 낙조류 4.93 m/s와 황해남부의 창조류 4.78 m/s로 나타났다. 유향은 대부분 지형 및 해안선에 평행한 방향으로 나타났다. 황해 중·남부에서는 북동-남서 방향이 주방향으로 나타났고, 제주해협, 제주남부, 대한해협에서는 동-서방향으로 나타났으며, 동해에서는 북동-남서 방향으로 나타났다. 조류분포도의 장·단축 분석 결과, 전체 관측 정점의 86% 이상이 왕복성 조류로 나타났으며, 강한 왕복성 조류로 보이는 정점은 황해 중부에 가장 많이 분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력 선박조정 유속인 4.4 knot(≒2.26 m/s)를 초과하는 유속도 창조 시 89개, 낙조 시 70개로 나타나며 해양 안전을 위한 체계적인 조류 정보 관리의 필요성을 나타내었다.

    영어초록

    The maximum flood/ebb of the tidal current observation in Korea was recalculat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dal current by forecast zone were analyzed. The maximum flood/ebb of 2,260 tidal current observation points of the Korea Hydrographic and Oceanographic Agency(KHOA), observed since 1957, was recalculated using PCA analysis and harmonic constants from nearby tide stations. The usability of the recalculated maximum flood/ebb was analyzed by comparing the similarity and accuracy with nearby points. Of the 2,253 points excluding error data, 1,965 points met the reliability criteria. For these points, the speed, direction, and rotation characteristics of the tidal current by forecast zone of KHOA were presented. Strong current greater than 2 m/s was most common in the middle of the Yellow Sea (7.3%) and southern Yellow Sea (15.9%). The strongest current speed was 4.93 m/s of the mid-Yellow Sea and 4.78 m/s of the Southern Yellow Sea. Most of the direction of maximum flood and ebb were parallel to the coastline. The direction in Central and Southern Yellow Sea point towards northeast-southwest direction, Jeju Strait, Southern Jeju and Korea Strait point east-west direction and East Sea points northwest-southeast direction. As a result of Major/Minor axis analysis of tidal current distribution, more than 86% of all observation points showing oscillations. The stronger oscillating currents were the most common in the Central Yellow Sea. The points exceeding 4.4 knot(≒2.26 m/s), which is the self-navigation velocity, were 89 in flood tide and 70 in ebb tide. It indicating the need for systematic tidal current management for marine saf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해양공간정보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영화 <퍼스트 라이드.> 시사회 초대 이벤트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5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