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挾刀’의 탄생-조선후기 大刀類 武藝의 정착과 발전- (Birth of the ‘Hyeopdo(挾刀)’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martial arts which used big swords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4 최종저작일 2017.06
31P 미리보기
‘挾刀’의 탄생-조선후기 大刀類 武藝의 정착과 발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조선시대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조선시대사학보 / 81호 / 265 ~ 295페이지
    · 저자명 : 최형국

    초록

    본 연구는 단병접전 무기의 일종인 挾刀를 중심으로 통시적인 관점에서 무기의 변화가 전투현장 환경의 변화와 어떠한 관련을 맺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특히 협도의 경우는 군사들에게 동일한 움직임으로 자세를 교육시키기 위해 연결된 투로 혹은 ‘形’의 형태로 정리되었다. 이를 통해 신체훈련의 근대성이 무예에 어떻게 투영되었는지까지 연구의 범주를 넓혔다. 이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먼저, 협도는 조선전기의 기병방어 무기인 長刀의 특성을 그대로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임란이후에 기병 방어용으로 정착한 夾刀棍과 鉤槍의 특성과 연결된다. 그리고 협도는 그 무예적 특징을 크게 두 가지로 설명하였다. 첫째 협도는 협도곤과 같이 ‘一刺(한번 찌름)’라는 창의 기본 기법인 찌르기가 중심을 이루고 있다. 둘째, 18세기 이후 진화된 협도 투로의 의도적 정교함과 좌우대칭성이다. 특히 자루가 긴 손잡이를 이용할 경우 나타나는 독특한 특징인 ‘陰陽手’가 규칙적이면서도 대칭적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대칭적 특성은 투로의 구성시 신체활동의 균형을 맞추기 위한 근대적 신체인식의 표현으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좌우 대칭적 훈련성은 개인의 몸에 대한 균형적인 발달을 위한 근대적 신체관의 정립을 통해 나타난 현상으로 조선후기 정립된 挾刀의 투로와 훈련방식에서 그러한 신체문화의 근대성을 엿볼 수 있다는 것이다. 협도의 자세의 분석을 통해 소위 ‘근대적 몸’의 인식과 탄생을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i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evelopment of the arms and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 in the combat field through the features of the ‘Hyeopdo(挾刀)’ which was a kind of short weapons for close distant fight. Hyeopdo was used in ‘Turo(Connected attitude)’ to train posture with same movement. The way which the modernity of the physical training had effect on to martial arts by the features of Hyeopdo was studied. And Hyeopdo had the features of the long sword which was a kind of defense weapon in the early days of Joseon dynasty. It was related with ‘Hyeondogon(夾刀棍)’ and ‘Goochang(鉤槍)’ for defense of the mounted troop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there were the two martial art features of Hyeopdo. The first feature was stabbing which was basic skill of the spear like Hyeopdogon. The second feature of Hyeopdo was exquisite shape and bilateral symmetry. Specially, ‘Eumyangsu(陰陽手)’ which was the feature of the weapon with long handle was regular and symmetrical. This symmetrical feature might be the expression of the modern physical awareness for the balance of physical activity when the ‘Turo’ was composed. Bilateral symmetrical training which was the phenomenon appeared by setting up the modern view of body for balanced development of body was the modernity of physical culture which was found in ‘Turo’ of Hyeopdo and training methods. The awareness and birth of ‘modern body’ could be explained by analysis of Hyeopdo pos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선시대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