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樂學便考 소재 聲氣原流의 내용과 사상 (Contents and Thoughts of “Seonggiwonryu” in Akhakpyeong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1.03
35P 미리보기
樂學便考 소재 聲氣原流의 내용과 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어국문학회
    · 수록지 정보 : 국어국문학 / 194호 / 157 ~ 191페이지
    · 저자명 : 김진희

    초록

    본고에서는 병와 이형상 저 『樂學便考』 첫머리에 실려 있는 「聲氣原流」의 내용을 살펴보고 그 전거가 되는 문헌을 파악하였다. 「성기원류」는 後漢에서 明代에 이르는 여러 시기의 고전 전적들을 참고하여 이루어져 易學的이거나 사실적인 歌樂論 및 音韻論을 표현하였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영향 관계를 파악하여 보고, 이를 통해 「성기원류」의 내용과 구성에 담긴 의미를 살펴보았다.
    「성기원류」의 초반부는 宋代 邵雍의 『皇極經世書』 및 이와 관련하여 집필된 徐敬德의 「聲音解」의 영향을 함께 받아 이루어진 것으로 파악된다. 초반부의 내용을 통해 天地 陰陽의 법칙에서 聲音과 律呂가 파생된 원리를 서술하여 역학적 가악관의 대전제를 마련할 수 있었다. 중반부는 고전 樂論의 중요 개념들인 律呂, 五聲, 八音의 名義와 그 역학적 의미를 『漢書』 「律曆志」와 宋代 陳暘의 『樂書』 등을 원용하여 서술하였다. 중반부의 내용은 음양오행론의 원칙에 따라 바른 악을 세우고 이를 통해 통치의 효용을 꾀한 전통적 가악관을 표현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마지막 종반부에서는 五聲을 중심으로 하여 그 의미를 보다 세밀히 분석하였는데, 이는 오행 사상에 따른 역학적 방법과 사실적 관찰에 따른 음운론적 방법을 포괄하며 이루어졌다. 특히 음운론적 해석에 있어 明代 朱之蕃이 지은 『海篇心鏡』의 내용을 상당 부분 인용하였으며, 그 외 『훈민정음』 해례를 참고하기도 하는 등 다양한 전적을 원용하였다.
    「성기원류」의 마지막 부분에서는 방위와 소리의 특성을 연관시키는 『황극경세서』의 내용을 인용하였는데, 그 목적은 자국 가악의 특수성을 인정하는 것에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처럼 이형상은 「성기원류」의 내용과 형식을 통해 음양오행사상에 입각한 전통적 가악론의 개요를 제시하면서, 더불어 지역에 따른 가악의 상대성을 인정하는 탈중세적 가악관까지 피력하였다. 『악학편고』의 서설격인 이 글의 이러한 의미는 병와가 『악학편고』에 담고자 했던 주제의식의 일단을 조명해 준다.

    영어초록

    In this paper, I reviewed the contents of “Seonggiwonryu” contained at the beginning of Akhakpyeongo by Lee Hyeong-Sang, and grasped the literature that is its authority. “Seonggiwonryu” was made by referring to classical records from various periods from the ancient period to the Ming Dynasty, and expressed musical and linguistic understandings based on the Yin-Yang and Five-Elements theory and more empirical studies. In this article, the relationship between such influences was identified and reported, and through this, the meaning contained in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Seonggiwonryu” was examined.
    The early part of “Seonggiwonryu” is believed to have been made under the influence of the Hwanggeukgyeongseseo by Shao Yong and the related “Seongeumhae” by Seo Gyeongdeok. Through the contents of the early part of “Seonggiwonryu”, it was possible to prepare the prerequisite for the musical theory based on the Yin-Yang and Five-Elements theory by describing the principle that seongeum and yullyeo were derived from the law of cheonji eumyang. The middle part describes the important concepts of East Asian classical music, such as yullyeo, oseong and paleum, and their symbolic meanings using Hanseo and Akron. The content of the middle part can be said to express a traditional theory of music which aims to establish right music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the Yin-Yang and Five Elements theory, and according to this, seeks the utility of government. In the last part, the meaning of oseong was analyzed in more detail by adopting the Yin-Yang and Five-Elements theory, and the phonological method according to the factual observation. In particular, in the phonological interpretation, a large part of the contents of the Haepyeonsimgyeong of the Ming Dynasty was cited, and in addition to the Hunminjeongeum, various records were referenced.
    In the last part of “Seonggiwonryu”, the contents of the Hwanggeuk Gyeongseo, which links the characteristics of the direction and sound, are cited, and the purpose is believed to have been to recognize the specificity of the music of the country. In this way, Lee Hyeongsang was able to present an overview of the traditional music theory based on the Yin-Yang and Five Events through the content and form of “Seonggiwonryu”, and also expressed a post-Medieval music view that recognized the relativity of music according to regions. This meaning of “Seonggiwonryu”, the preface to the Akhak Pyeongo, highlights one of the subject consciousness that was intended to be included in the Akhak Pyeong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국어국문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