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김종기류 가야금산조의 구조 (A Study on the Musical Structure of Kim Chong-gi's Kayagŭm Sanj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3.06
21P 미리보기
김종기류 가야금산조의 구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음악사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음악사학보 / 70호 / 273 ~ 293페이지
    · 저자명 : 임혜정

    초록

    본고에서는 김종기 가야금산조 진양의 구조적 특징에 관하여 각 악조별로 상세한 선율 구성의 원리를 살펴보는 미시적인 관점을 적용해 논의를 진행해 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우조 선율을 살펴 본 바에 의하면, 총 다섯 개의 단락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때 각 단락의 길이는 일정하지 않았다. 단락의 시작 부분을 내드름이라고 본다면, 그 다음은 이를 변형해서 앞의 내드름의 분위기를 연장하는 선율이 이어진다. 내드름이 각 단락의 특징적인 성격을 축약해서 제시하는 부분이라면, 그 뒤로 이를 다시 풀어서 제시하는 선율이 추가되는 것이라고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우조 선율 각 단락의 특징적 선율은 내드름과 그 변형에 해당하는 부분에서 나타난다. 그 뒤로는 우조적인 성격을 띠는 선율이 온 뒤 종지 선율로 단락을 마친다.
    이러한 단락의 구성 원리는 김종기류 가야금산조 진양 우조 선율 전체에도 적용할 수 있는 구성 원리이다. 첫 번째 단락을 내드름으로 볼 수 있고 이후 네 번째 단락에서는 우조적 성격을 띠는 선율과 종지가 나타나고, 다섯 번째 단락은 우조성 종지를 사용해서 마친다. 즉, 우조 각 단락의 구조가 그대로 모방되어 우조 선율 전체의 구조가 성립되는 것이다.
    김종기류 가야금산조 진양 중 우조의 구조는 그대로 진양의 평조, 계면조에서도 모방되는데, 내드름으로 시작한 뒤 그 변형이 나타나고, 이어지는 부분에서 각 조의 선율 및 종지를 사용한다. 다만 우조에서는 이러한 구조가 중첩되는 등 좀 더 복잡한 양상을 띤다. 그리고 계면조 부분에서는 각 단락의 길이가 일정하다는 점, 내드름의 길이가 한각, 또는 두 각으로 유동적이라는 점이 우조, 평조 선율과 달랐다.
    이러한 김종기류 가야금산조 진양의 구성 원리는 가야금산조의 계통에 관한 그간의 연구를 보다 더 발전시켜 볼 수 있는 근거가 된다. 김종기류 가야금산조는 김창조 계통은 아니지만 전기산조의 특징보다는 오히려 후기산조의 특징을 지닌다. 즉, 김종기류 가야금산조에 근거한다면 김창조 계통이 아닌 가야금산조가 모두 전기산조의 특징이 나타나는 것은 아니므로 가야금산조를 단순히 김창조 계통의 후기산조, 비김창조 계통의 전기산조로 구분하는 견해는 수정되어야 한다.
    김종기류 가야금산조가 비김창조 계통의 전기산조에 그 출발점을 두었을 수는 있지만, 1930년대에 김종기가 연주한 선율에서는 비김창조 계통이면서도 구조적인 측면에서 이미 후기산조로 발전해 있었다고 볼 수도 있겠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detailed melodic composition principles and structural features of the chinyangjo movement in order to explore the melodic composition principles of Kim Chong-gi's kayagŭm sanjo.
    The ujo melody is divided into five phrases, each of which is unequal in length. If the beginning of a phrase is the naedŭrŭm (the leading melody), the following phrase consists of variations on the naedŭrŭm that continue the mood of the preceding phrase. If the naedŭrŭm phrase is a summary of the characteristic nature of each section, it is followed by the second phrase that elaborates on the preceding naedŭrŭm phrase. Thus, the characteristic phrase of each section appears on the naedŭrŭm and the following second phrase. And the next following phrase is composed in the ujo mood and concludes with an ending phrase in the ujo style.
    The organizational principle of these parts can be applied to the entirety of the Kim Chong-gi style kayagŭm sanjo ujo part in chinyang movement. The first paragraph can be seen as a naedŭrŭm (the leading melody), the fourth paragraph introduces a ujo mood phrase, and the fifth phrase concludes with a ujo style ending phrase. In other words, the structure of each ujo phrase is all applied to the ujo part.
    The structure of the ujo melody in the chinyang movement of Kim Chong-gi's kayagŭm sanjo is also repeated in the p'yŏngjo and kyemyŏnjo melody part, starting with naedŭrŭm phrase, followed by the variation phrase, and concluding with a typical ending phrase. However, in the ujo melody, this structure is more complicated, with repetition. In the kyemyŏnjo section, the length of each phrase is constant, and the length of the naedŭrŭm phrase is flexible, which is different from the ujo and p'yŏngjo melodies.
    These compositional principles of Kim Chong-gi style kayagŭm sanjo chinyang movement also apply to the study of the kayagŭm sanjo lineages. In other word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of Kim Chong-gi style kayagŭm sanjo, the perspective that categorizes kayagŭm sanjo simply as either the late kayagŭm sanjo or the early kayagŭm sanjo needs to be revised, in that not all non-Kim Chang-jo style kayagŭm sanjo exhibit the characteristics of early kayagŭm sanjo.
    Although Kim Chong-gi's style of kayagŭm sanjo may have had the same starting point as Kim Chang-jo's early style sanjo, the melodies played by Kim Chong-gi in the 1930s were distinct from the Kim Chang-jo style sanjo and already embodied the form of the later sanjo style in terms of struc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음악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