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관보(寬甫) 조홍진(趙弘鎭)의 『필적유휘(筆跡類彙)』와 조선 후기 소론계 문인들의 심학적 서화인식 연구 (Gwanbo Cho Hong-jin’s(趙弘鎭) PilJeokYuWhee (筆跡類彙) and Yangmingian aesthetics of Soron (少論) Circles on Paintings and Calligraphies in the late Joseon Dynasty)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3.05
29P 미리보기
관보(寬甫) 조홍진(趙弘鎭)의 『필적유휘(筆跡類彙)』와 조선 후기 소론계 문인들의 심학적 서화인식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93호 / 33 ~ 61페이지
    · 저자명 : 한경애

    초록

    본 연구는 소론계 조홍진(趙弘鎭, 寬甫, 1743~1821)의 『필적유휘(筆跡類彙)』의 분석을 바탕으로 소론계 문인들의 심학적 미의식을 고찰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조홍진은 정조 연간에 초계문신으로 유학자로서 뛰어난 감식안과 뚜렷한 자신의 견해로 『필적유휘』를 편집했다. 그의 『필적유휘』는 소론이라는 당파적 입장을 기반으로 구성․편집되었고, 제작 시기나 동기가 명확하고 전체적인 구성이 일관성이 있으며, 시․서․화와 문을 아우르며, 양적․질적으로도 상당하고 조홍진의 서화관이 분명하게 적용되었다는 점에서 자료적 가치가 매우 풍부하다고 할 수 있다. 특히 2첩과 3첩인 「하(夏)」와 「추(秋)」에는 시대를 관통하는 서화가들의 예술작품이 망라되어 있으며, 17세기에서 18세기에 이르는 서화의 전반적인 모습을 볼 수 있어 예술사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이다. 예컨대 『필적유휘』 2첩과 3첩은 조선 중기에서 조선 후기에 이르는 시기의 대표적인 사대부화가 조속(趙涑)․조지운(趙之耘) 부자, 윤두서(尹斗緖)․윤덕희(尹德熙)부자, 조영석(趙榮祏)의 서화가 성첩되어있어 조홍진(趙弘鎭) 개인의 서화관을 이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예술적 가치가 풍부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조홍진의 『필적유휘』가 소론이라는 학맥을 바탕으로 구성되었다는 점에 근거해 심학적 비평의식과 주제의식이 비교적 잘 표출된 소론계 문인 이하곤(李夏坤)․조귀명(趙龜命)․조홍진(趙弘鎭)․정지순(鄭持淳)과 근기남인 이용휴(李用休)의 서화인식을 고찰해 본 결과 그들은 적극적으로 새로운 인식의 심안(心眼)을 열어줌과 동시에 주체적 자기 개성을 강조하는 예술론의 전개를 초래하였고 자아의 각성․주체심 강조․개성미의 추구를 지향하는 미학적 기반의 형성과 단초를 제공했음을 알 수 있다.

    영어초록

    Based on the analysis of PilJeokYuWhee by Gwanbo Cho Hong-jin (寬甫 趙弘鎭, 1743-1821) of Soron circles, this study examines the Yangmingian aesthetic consciousness of the literary artists from the Soron faction. Cho Hong-jin was a member of Chogyemoonsin (抄啟文臣) and edited PilJeokYuWhee with outstanding insight and a clear standpoint as a Confucian scholar. His PilJeokYuWhee is organized and edited based on Soron’s political perspective and has a clear motive as well as the record of the production period, consistent overall composition encompassing poetry, calligraphy, and literature. The collection is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significant and contains Cho Hong-jin’s distinct views over paintings and calligraphies. Its historical value, therefore, is abundant. In particular, the 2nd and the 3rd volumes, Summer and Autumn include the works of literary artists whose value surpassed the times and offer a chance to review the overall appearance of literary arts from the 17th to the 18th century and grasp the flow of art history. For example, the 2nd and the 3rd volumes have a list of paintings from the mid to late Joseon Dynasty, created by exemplary noble artists such as Jo Sok(趙涑) and Jo Ji-un (趙之耘), Yun Du-seo (尹斗緖) and Yun Deok-hui (尹德熙), and Cho Young-seok(趙榮祏), which makes us understand Cho Hong-jin’s viewpoint on the literary arts and suggests the affluence of artistic values. In addition, based on the fact that Cho Hong jin grounded the composition of PilJeokYuWhee on the academic faction of Soron, the study compared Yi Ha-gon(李夏坤), Cho Gui-myeong(趙龜命), and Cho Hong-jin(趙弘鎭), Jeong Ji-soon(鄭持淳) whose psychological criticism and thematic awareness have been well expressed, with those of Yi Yong-hyu(李用休) who was part of Nam-in (the People of the South) Suburban factions; and concluded that the commonalities of their perspectives on the literary arts covered first, a deviation of the Neo-Confucian Domun (道問, Inquiries upon the way of life) standpoint, second, emphasis on the individual subjectivity, third, the logic of subjective and active self-acquisition and practice, and fourth, psychological aesthetic orientation. In short, the late Joseon Dynasty was a period in which a new viewpoint of art and awareness of paintings and calligraphies focused on the mind was born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Wang Yangming’s thoughts and the aesthetic theory that pursues the truth (眞). These efforts and practices resulted in broadening the scope of modern-oriented aesthetic consciousness that realizes the true face of the human subject by accelerating the recovery and conversion away from Neo-Confucian rationalism emphasizing formal norms to active subjectivity, the mind of the self (吾心), true self (眞我), and return-of-the-self (還我), and triggered a Yangmingian aesthetic consciousne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10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