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비대면 기술직업교육훈련을 위한 메타버스 클래스룸의 학습환경 설계요소 탐색 (Exploring the Learning Environment Design Components of Metaverse Classroom for Non-face-to-face Technical and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2.12
29P 미리보기
비대면 기술직업교육훈련을 위한 메타버스 클래스룸의 학습환경 설계요소 탐색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 수록지 정보 : 교육정보미디어연구 / 28권 / 4호 / 1069 ~ 1097페이지
    · 저자명 : 신정민, 김상연, 윤희정

    초록

    본 연구에서는 비대면 기술직업교육훈련을 위한 학습환경으로서 메타버스 클래스룸의 개념과 기본 구조를 제시하고 메타버스 기반 학습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학습 설계요소를 탐색한다. 메타버스 기반 학습환경에서는 학습자와 교수자가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배우고 가르치는 활동을 수행한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메타버스 클래스룸은 학습자들의 학습 흥미를 높이고 교수자와 학습자의 아타바 간의 교육적 상호작용을 강화함으로써 학습 몰입을 높인다. 이러한 장점은 결과적으로 메타버스 클래스룸이 상호작용의 부족과 학습 몰입의 어려움과 같은 기존의 디지털 기반 학습의 단점을 해결하는 솔루션이 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메타버스 기반 학습이 현장에 대한 이해와 실기 기술습득이 중요한 기술직업훈련에 적극적으로 활용된다면 학습자들은 비대면 학습상황에서 오감 정보를 활용한 밀접한 상호작용을 통해 필요한 특정 기술을 보다 쉽게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메타버스 기반 기술교육훈련 학습환경을 구축을 위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검토와 전문가 대상 심층 인터뷰 결과를 분석하여 비대면 기술직업교육훈련 환경으로서‘메타버스 클래스룸’을 정의하고 메타버스 클래스룸에서 교육훈련의 효과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설계요소를 도출한다. 또한 도출된 설계요소는 관련 분야 전문가로 패널을 구성하여 델파이 조사를 통해 타당성을 검증한다.

    영어초록

    This study presents the concept of a “metaverse classroom” and its structure as a learning environment for non-face-to-face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and furthermore this study explores learning design components that can maximize learning effects in metaverse. In a learning environment based on metaverse, avatars for representing learners and instructors can move freely to doing learning and teaching activities. The proposed metaverse classroom increases in the interest in learning of students, strengthens the educational interaction among avartars including a teacher and students, and increases the immersion level of students. As a result, (Due to this advantages) the concept of the proposed metaverse classroom can be a solution to resolve the disadvantages of conventional digital-based learnings such as lack of interaction and difficulty in studying immersion. If the metaverse-based learning is applied to technical and vocational training which allows students to understand work in place and to learn practical skill of devices or machines, students can easily learn the necessary skills through multimodal interaction. So, this paper constructs the metaverse-based learning environment (we call it metaverse classroom) through literature review, in-depth interview with experts, and Delphi surveys. Moreover, we draw the design factors for maximizing the effectiveness of education and training in metaverse classroom and evaluate the design factors via Delphi survey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3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