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국 문학의 영어 번역 양상 연구 - 케빈 오룩 고시조 번역의 한자어와 색상어 번역 양상을 중심으로 (An Examination of Korean Literature in English Translation - Focusing on Sino-Korean Lexicons and Color Terms in Kevin O’Rouke’s Traditional Shijo Translation)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4.12
27P 미리보기
한국 문학의 영어 번역 양상 연구 - 케빈 오룩 고시조 번역의 한자어와 색상어 번역 양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제비교한국학회
    · 수록지 정보 :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 / 32권 / 3호 / 81 ~ 107페이지
    · 저자명 : 박진임

    초록

    한국 문학의 장에서 고시조의 번역 문제를 논할 때 케빈 오룩(Kevin O’Rouke)은 매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번역한 시조가 많기도 한 데다가 시조 번역 방법에 획기적인 변화를 가져온 번역가가 오룩이기 때문이다. 기존의 번역가들이 시조가 3장 6구로 구성되었다는 이론에 따라 6행 번역 형식을 주로 취한 데에 반하여 독특하게 5행으로 시조를 번역한 것이다. 그러나 오룩 번역본에서는 적지 않은 오류가 발견되기도 한다. 오류는 크게 두 가지로 요약할 수 있다. 하나는 한자 혹은 한자 구절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생겨난 오류이며 다른 하나는 색상어의 번역에서 발생한 문제이다. 본고는 오룩의 고시조 번역본들을 검토하면서 한자어와 색상어 번역 양상을 검토하고 그 특징을 정리한다.
    본고는 한자어의 번역에서 드러난 한계는 번역본이 원작의 시적 정조를 충분히 재현하지 못하게 되는 결과를 낳는다는 점을 규명한다. 후자, 즉 색상어 번역에서 드러나는 일관성의 부족은 번역자가 한국어 색상 체계와 그 체계의 근저에 놓인 동양 철학의 원리를 충분히 파악하지 못한 데에서 기인한 것임을 밝힌다. 즉, 한국 전통에서는 색상 이해 방식이 서구와는 달라 기본 색상을 일곱 가지가 아닌 다섯 가지로 이해하고 표현하는데 오룩은 그 점에 대한 이해가 부족했다고 보고 텍스트를 분석하여 그 점을 규명한다. 고시조 원전의 색상어가 번역본에서는 일관되게 번역되지 못하고 혼돈된 상태로 드러남을 보인다. 즉 한국어 색상어는 오행설에 기반을 두고 청백적흑황(靑白赤黑黃)의 다섯 가지 오방정색(正色)을 기초로 삼는데 그 점에 대한 이해가 불충분하였음을 밝힌다. 특히 청과 녹, 즉 green과 blue가 등장하는 시조 텍스트들에서 색상의 번역은 일관되지 못하게 드러남을 알 수 있다.
    결론적으로 본고는 케빈 오룩 시조 번역본의 한계를 한자어와 색상어 번역 양상을 중심으로 살핌으로써 번역자로서의 오룩의 성취와 그 한계를 정리한다. 그리하여오룩의 번역자로서의 위치를 재조명하면서 동시에 고시조 번역의 바람직한 방향을 조망한다.

    영어초록

    In the field of traditional Shijo translation into English, Kevin O’Rourke stands out as a prominent translator. His substantial body of translated Shijo texts, coupled with his unique translation style, distinguishes him as one of the foremost Shijo translators. Unlike other translators who adhere to the conventional ‘3-line 6-phrase’ structure of Shijo, O’Rourke employed a 5-line form in his translations. This approach aimed to highlight the internal structure of Shijo within his English renditions.
    While O’Rourke’s contributions are significant, this paper identifies two key areas where his translations could be improved: the handling of Sino-Korean vocabulary and the representation of colors. Specifically, O’Rourke’s translation of colors reflects an incomplete understanding of Korean diction. In his translator’s introduction, he acknowledges that Korean representations of color in literature can be challenging and even “prepondrous.” However, this paper argues that Koreans have distinct, culturally rooted ways of perceiving and expressing color, which O’Rourke did not fully grasp.
    More precisely, this paper posits that Koreans traditionally represent colors through five primary hues, in contrast to the Western spectrum of seven colors. Korean color representa tion is shaped by the Eastern philosophy of Yin-Yang and the Five Elements (음양오행), which resulted in the predominance of white, black, blue, red, and yellow in Shijo. Although colors such as green and purple occasionally appear, these five hues dominate. Had O’Rourke better understood this philosophical framework, his translation of colors might have been more accurate. This paper particularly examines his inconsistent and confused translations of ‘blue’ and ‘green,’ which were not rendered coherently in various texts. In conclusion, this paper advocates for a re-examination of O’Rourke’s Shijo translations, especially in light of the distinct modes of color representation in Eastern and Western tradi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비교한국학 Comparative Korean Studies”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2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