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고회화의 생활 복원과 공간, 형태 심층관찰을 통한 죽서루 해석 (Interpretation of the Jukseoru Pavilion by Restoring Life from Old Pictures and Deep-Observing the Form and Space)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0.12
18P 미리보기
고회화의 생활 복원과 공간, 형태 심층관찰을 통한 죽서루 해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19권 / 6호 / 233 ~ 250페이지
    · 저자명 : 이희봉, 문지은

    초록

    삼척도호부 객사 누정건축 죽서루를 해석하기 위하여 조선시대 고회화를 분석한다. 주 행위 그림인 신임수령환영연회, 계회도, 기로연회도 등을 분석한 결과 주인공 인물을 중심으로 여러 기능의 보좌 부하들, 시종, 아전, 기생, 악공, 노비들의 계급과 직분에 따른 공간 점유 규칙이 있음을 발견했다. 기존 죽서루의 목구조 형태 중심 연구에서 포작이 서로 달라 원래 5칸 맞배지붕에 추후에 양 끝 2칸을 증축한 건물이라는 것이 정설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이 해석한다. 우물천정과 다른 칸과는 차별되는 최상석칸의 형태를 관찰하고, 북쪽 끝칸을 시동들과 술탁자를 비롯 보조 준비 필요에 의해 설치된 칸으로 해석한다. 또한 남쪽 끝칸은 측면 퇴칸으로서 기생들과 악공들과 배열되는 공간으로서, 마루 난간 바깥의 보다 낮은 공간을 만든다. 또한 남쪽 바깥으로 기존 바위를 이용해 넓은 기단을 조성하여 마당 보다는 높은 아전과 나장들이 점유하는 공간이 된다.
    18세기 여러 산수화에서도 죽서루는 팔작지붕으로 표시되어있고, 누정이 맞배지붕인 경우는 거의 없다. 또한 5칸일 경우 건물이 남북 양쪽 바위에 다리처럼 걸려 바위를 통해 들어가는 설계개념과도 어긋난다.
    따라서 죽서루 건축은 증축의 결과라기보다 조선시대 사회의 계급과 직분에 따라 공간의 높낮이와 안팎의 단계적 구분을 처음부터 의도한 장치로 해석한다.

    영어초록

    Jukseoru as an official pavilion of the government, one of the eight sceneries in Gwndong Area, is located on the cliff over Osipcheon River. This paper interprets form and space of the pavilion with restored old life by analyzing pictures of official party in 18th century in Chosun Dynasty.
    Every part of the space is occupied by persons by the class and duty: the pricipal guest, nobles, subordinates, gisaengs, court musicians, and guards from the high to the low and from the inside to the outside. Applying the analysis to the Jukseoru pavilion, the noblest lord takes sit on the platform in front of folded screen at main bay under checked ceiling, enclosed by low timber beam. The next northern end bay is a place for subordinates' and servants' waiting for preparation for rice wine. Southern end entrance bay is not a result of later addition but deliberately and originally made for lower place outside the railing of wooden floor: for a waiting woman gisaeng, and subordinates. Outside under the eaves on the platform with bedrock, artificial stone and soil is a place for court musicians, subordinates, and guards. The yard in front of the building is a place for preparing meals by cookers. Every detailed ornamental form is different each other by the place for the occupied class.
    Existing theory tells that the building, 7 bays gable-and-hipped roof, is a result of structural extention of 2 bays at the 5 bays gabled-roof. However, through the interpretation of old pictures and application to the pavilion, the present Juseoru is not a result of later structural addition, but deliberately designed creation suited to life in hierarchical traditional socie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1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