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루쉰의 제자 되기’의 ‘포기/실패’와 타자성의 부재 - 루쉰의 「가을밤」·「술집에서」와 이병주의 「변명」·「겨울밤-어느 황제의 회상」을 중심으로 (The ‘Renunciation/Failure’ of Being Lu Xun's Disciple and the Absence of the Otherness - Based on Lu Xun's “Autumn Night”·“In the Tavern” and Lee Byung-ju's “Excuses”·“Winter Night : Reminiscences of )

3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2.04
34P 미리보기
‘루쉰의 제자 되기’의 ‘포기/실패’와 타자성의 부재 - 루쉰의 「가을밤」·「술집에서」와 이병주의 「변명」·「겨울밤-어느 황제의 회상」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현대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현대문학연구 / 66호 / 381 ~ 414페이지
    · 저자명 : 김진규

    초록

    이 논문은 이병주가 루쉰에게서 주목하지 않은 ‘자기부정의 정신’이 그의 ‘루쉰의 제자 되기’의 ‘포기/실패’의 한 이유라는 사실을 밝히고자 했다. 이병주는 「후지노 선생」과 「광인일기」에서 루쉰이 의도한 위선적인 지식인 비판과 ‘비판의 대상과 비판하는 주체의 분리불가능성’ 문제보다는 ‘평범 속에서 가치 있는 의미를 조명해 내는 정신’과 전통에 대한 엄정한 비판에 주목했다. 이병주의 이러한 루쉰 이해는 그의 작품 속에서 서술자의 자기중심성 강화와 자기 경험의 절대화를 통한 ‘인간적 문학’의 의의 강조로 이어진다. 루쉰의 「가을밤」과 이병주의 「변명」은 가을밤이라는 시간적 배경, 당나라 시인 이하(李賀)와의 관련성을 공통적으로 가지며, 두 작가의 글쓰기 양상과 의의를 잘 보여준다. 이하의 「뇌공(惱公)」을 배면에 깔고있는 「가을밤」에서 루쉰은 거듭되는 ‘나’에 대한 부정에서 글쓰기가 시작함을 보여주는 반면, 「변명」은 종전 후에도 일본군의 명령을 충실히 수행한 ‘나’와 일본군을 탈출해 일본에 저항한 탁인수 사이의 거리를 은폐하고, 장홍과 이하 그리고 탁인수의 적층되는 원한을 자기의 그것으로 치환함으로써 ‘역사를 위한 변명’이라는 문학의 의의를 역설한다. 루쉰의 「술집에서」와 이병주의 「겨울밤-어느 황제의 회상」은 서술자와 서술 대상 사이의 관계에서 분명한 차이를 지닌다. 「가을밤」에 나타난 부정의 정신은 「술집에서」 ‘나’와 웨이푸의 상호주관성으로 나타나고, 웨이푸를 통해 삶의 의미를 회복하려는 ‘나’의 시도는 철저히 실패한다. 「겨울밤-어느 황제의 회상」에서는 「변명」 속 ‘나’의 자기중심성이 한층 강화된다. 「겨울밤-어느 황제의 회상」에서의 ‘나’는 타자의 이질성을 무화시키고, 자기의 세계인식을 절대화한다. 사회주의자 노정필과 중국인 포로가 보여주는 신념과 원한은 ‘나’의 ‘인간다운 문학’ 앞에서 그 이질성을 상실하고, 중국인 포로 앞에서 느낀 정체성의 위기는 ‘나’와 일본군의 철저한 분리와 자신과 인간적인 관계를 맺는 중국 소년의 등장을 통해 손쉽게 해결된다. 타자는 ‘나’ 안의 낯선 ‘나’를 인식하는 계기가 아니라, 자신의 세계 인식의 정당성을 부여하는 ‘투명한 도구’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sought to reveal that the ‘spirit of the self-negation’ of Lu Xun, which Lee Byung-ju did not pay attention to, was one of the reasons for his ‘renunciation/failure’ of being Lu Xun’s disciple. Lee Byung-ju’s understanding of Lu Xun leads to the emphasis on the significance of ‘human literature’ through the reinforcement of the narrator’s self-centeredness and the absolutization of self-experience in his work. Lu Xun’s “Autumn Night” shows that the writing begins with the repeated denial of “I,” while Lee Byung-ju’s “Excuse” emphasizes the literary significance of ‘Excuse for History’ by hiding the distance between “I” who cooperated with imperial Japan and Tak In-soo who resisted imperial Japan. Lu Xun’s “In the Tavern” and Lee Byung-ju’s “Winter Night” have clear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arrator and the object. The ‘spirit of the self-negation’ in “Autumn Night” appears as the mutual subjectivity of “I” and “Weifu” in “In the Tavern,” and “I”'s attempt to restore the meaning of life through Weifu fails thoroughly. In “Winter Night,” the self-centeredness of “I” is further strengthened. “I” in “Winter Night” neutralizes the heterogeneity of the others and absolutely enunciates one’s own perception of the world. The others do not provide an opportunity to recognize the otherness in “I,” but function as a transparent tool that gives the legitimacy of “I”'s perception of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현대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