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밀양 영남루 단청의 창의적 조형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eative Pattern Elements of Dancheong in Yeongnamnu Pavilion, Miryang)

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6.12
8P 미리보기
밀양 영남루 단청의 창의적 조형요소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건축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건축역사연구 / 25권 / 6호 / 81 ~ 88페이지
    · 저자명 : 구미주, 곽동해, 이호열

    초록

    밀양 영남루의 단청은 누각에서는 타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창의성이 다분한 문채(文彩)구성을 보여준다. 또한 단출한 문양구성이 특징인 누각단청의 전형양식을 벋어나 문채의 화려함이 다분하다. 특히 내부 선자연에 채화된 사진도와 대량머리초의 독특한 조형미는 영남루 단청의 창의성과 예술성을 대변하는 문양으로 파악되고 있다.
    영남루의 대량머리초는 연화와 주화가 각각 온바탕과 반바탕의 주문양으로 배치된 장구머리초 형식으로 구성되었다. 그런데 온바탕과 반바탕의 경계부분에 조합되는 녹실과 황실을 배제하고 대신 용신문(龍身文)을 이용하여 이른바 용실[龍絲]의 독특한 구성을 보여준다. 이 문양요소의 출현은 근대 이후로 추정되나 현전하는 사례를 찾아보기 힘들 정도로 희소성이 매우 크다. 또한 고난이도의 주제로서 오늘날 지극히 화려한 금단청에서 조차 좀처럼 사용되지 않는 극장식의 문양요소이다. 그런데 이러한 용실 문양은 영남루 단청에 처음 채화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즉 창의성과 예술성이 풍부한 용실 문양이 영남루의 대량에 처음으로 채화되었다는 점에 큰 의의가 있다.
    또한 영남루 내부 사방 모서리 선자연에는 사신도(四神圖)가 채화되었다. 사신도는 고구려 후기 고분벽화의 주요 소재이나 전통건축단청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았다. 건축부재에 채화된 것은 아니지만 창덕궁 인정전 용상의 후벽에 설치된 사신도병(四神圖屛)이 왕권과 군신의 조화를 상징하는 유일한 사례이다. 문양의 다변성이 풍부해진 현대단청에서조차 좀처럼 사례를 찾기 힘든 문양인 것이다. 영남루 건축채화의 사신도 그림은 누각단청에서는 유일한 사례로서 문채의 다채로움과 함께 상징의도를 엿볼 수 있는 문양으로 사료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original design and character of dancheong in Yeongnamnu Pavilion which features unusual portraits of twisting dragons and four heavenly creatures. Its artistic value and originality can be found in the portraits of four heavenly creatures which are painted on the interior seonjayeon(fan shape rafter) and in the unique design of crossbeam meoricho(flower decorations on each side of pillars). Yeongnamnu’s crossbeam meoricho is janggu-meoricho type(meoricho with hourglass figure) with full-shape lotus and half-shape flower decorations. And it can be said that, dragon portrait painted on the border of lotus and flower decorations in green and yellow is a very unique style of dancheong, for the reason that it has scarcely been used before and ever since. The portrait of four heavenly creatures painted on each corner of seonjayeon is also found to be unique in design, for the reason that the design has rarely been used throughout history, with only two exceptions in mural tombs of Goguryeo and folding screen in Injeongjeon Hall of Changdeokgung Palace. With its unique and authentic feature along with its rarity in number, the portrait of four heavenly creatures painted on Yeongnamnu can be considered as quite symbolic and importa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건축역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