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포은의 청심루 제영‘明朝’전구의 전승 (Artistic Succession of the Transition Phrase Using the Word 'Tomorrow' in Poeun's Poem for Cheongsimru)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0.10
29P 미리보기
포은의 청심루 제영‘明朝’전구의 전승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포은학회
    · 수록지 정보 : 포은학연구 / 26권 / 173 ~ 201페이지
    · 저자명 : 김태환

    초록

    포은의 청심루 제영 제2수는 ‘明朝’로 전구의 말머리를 삼은 절구의 대표적 사례다. 포은의 작품은 이로써 자연의 경물을 위한 증별이 처음 비롯된 점에서 새롭다. 인물을 위한 증별을 위하여 ‘明朝’로 전구의 말머리를 삼는 관습과 그 격식은 당송시대 이래의 중국 시가예술사에 이미 자취가 있었던 바지만, 동일한 격식에 이처럼 자연의 경물을 위한 증별을 새기는 사례는 포은의 작품이 그 효시다. 본고는 이러한 관심에서 ‘明朝’로 전구의 말머리를 삼은 절구의 격식과 역대의 작품을 고찰하는 것으로써 작성의 목표를 삼았다.
    하나의 시구를 ‘明朝’라는 단어로 시작하는 구법은 흔히 인물을 위한 증별에 쓰였고, 이것은 거의 고시나 율시의 마무리에 나오는 바였다. 그런데 이러한 시구가 절구의 마무리에 나오는 때는 장법의 층위에서 작품의 전폭을 좌우하는 기축으로 기능하는 까닭에 중요성이 퍽 다르다. 절구의 제3구에 놓이는 ‘明朝’는 임박한 확정적 미래의 어떠한 사건을 들어서 문득 전절을 이루고 이로써 전환과 집중의 효과를 낳는다. 기구와 승구를 벗어나 결구에 이르는 의미의 자연스러운 비약을 가능하게 하거나 작품의 결구에 언어적 긴장을 불어넣는 효과는 특히 제3구의 전환에 따른 화제의 집중에서 나온다.
    망헌의 자경당 절구는 인물을 위한 증별의 압권이다. 승구의 ‘머리맡으로 물고기 튀어 오르는 소리를 밤이 깊어 듣는다.’는 천만년의 경책이다. 물고기 튀어 오르는 소리와 여강의 달 가까이 배를 대는 동작은 도무지 불가사의한 전환이다. 독자는 결구에 가서야 이별을 깨닫는다. 한벽루 제영의 하나로 전하는 사암의 절구 제1수는 포은의 격식과 태세를 모두 빼어 닮았다. 결구의 ‘흰 구름, 붉게 물든 나무는 눌 보라는 가을이려오?’에 비치는 욕심은 지극한 자연애의 표현이다. 사암의 한벽루 제영은 경물을 위한 증별의 백미다.

    영어초록

    Poeun's 2nd piece of the poems for Cheongsimru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quatrain, which used the word 'tomorrow'. Poeun's 2nd piece of the poems for Cheongsimru is new in that it is the first farewell poem for nature scenery. The custom and formality of using the word 'tomorrow' as the leading term of the transition phrase has already been traced to the history of Chinese poetry art since the Tang and Song period. However, Poeun's 2nd piece of the poems for Cheongsimru is the beginning of the case of farewell poem for nature scenery in the same formality. From this interest, this paper examines the formality of quatrain using the word 'tomorrow' as the leading term of the transition phrase and investigates the works through the ages.
    The phrase rule of starting a poem with the word 'tomorrow' was often used as a farewell poem for people, and it was almost always at the end of a ancient poems and modern rhythmic poems. However, when this phrase rule appears at the end of quatrain, its importance is very different from the end of a ancient poems and modern rhythmic poems because it function as a axle that determines the overall width of the work at the level of the composition rule. When the word 'tomorrow' placed in the third phrase of quatrain, it suddenly becomes a transition by presenting a certain event of the imminent definite future, resulting in the effect of diversion and concentration. The effect of enabling a natural leap of meaning in the process of getting out of first phrase and succession phrase to ending phrase, or infusing verbal tension in the ending phrase comes from the focus of the topic in particular following the transition of the third phrase.
    Mangheon's Jagyeongdang quatrain is the top-ranking works of the farewell poem for people. Succession phrase, 'I listen to the sound of fish popping up at my head at night.', is a ten-million-year aphorism. The sound of the fish popping up at my head and the motion of placing a boat close to the moon in Yeogang show a mysterious transition. Readers realize the breakup only when they go to the ending phrase. Saam's 1st piece of the quatrain conveyed as one of the poems for Hanbyeokru resembles perfectly Poeun's formality and posture. Greed reflected in ending phrase, 'Who will see the white clouds and reddish trees in this fall?', is an expression of extreme love for nature. Saam's 1st piece of the poems for Hanbyeokru is the best works of the farewell poem for nature scene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포은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6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1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