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루쉰魯迅의 중국 고대소설 연구 6 — 시오노야 온의 《중국문학개론강화》와 루쉰의 《중국소설사략》 비교 (Lu Xun’s Research of Chinese Ancient Novels(6) : Comparative Study of Shionoya On’s The Discourse of Introduction of Chinese Literature and Lu Xun’s The Brief History of Chinese Novel)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3.08
26P 미리보기
루쉰魯迅의 중국 고대소설 연구 6 — 시오노야 온의 《중국문학개론강화》와 루쉰의 《중국소설사략》 비교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중국소설학회
    · 수록지 정보 : 중국소설논총 / 70호 / 101 ~ 126페이지
    · 저자명 : 조관희

    초록

    일본 학자 시오노야 온의 《중국문학개론강화》는 희곡과 소설이 중시 받지 못했던 시기에 일종의 개척자적인 역할을 했던 중요 저작이다. 루쉰은 시오노야 온의 저작에서 많은 영감을 받았고, 자료적인 측면에서 실질적인 도움도 받았다. 그로 인해 한때는 루쉰이 시오노야 온의 저작을 ‘베껴 썼다’는 논란도 있었으나, 그것은 이와 무관한 ‘사회적 사건’을 둘러싸고 벌어졌던 일종의 해프닝으로 귀결되었다. 하지만 그 정도로 두 사람의 저작은 유사성을 갖고 있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그러한 유사성에도 불구하고 양자의 차이를 분명하게 보여주는 것은 ‘입론立論’에 있다. 곧 시오노야 온의 《중국문학개론강화》는 강연 원고를 정리해 펴낸 것으로, 대중들이 쉽게 중국문학 전반을 이해할 수 있게 중국문학을 개괄적으로 서술한 것이다. 중국 소설에 관한 내용은 이 책의 일부에 지나지 않으며, 전문적인 소설사 집필을 염두에 두고 서술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루쉰은 젊은 시절부터 소설 자료들을 수집하는 등 중국소설사를 집필하기 위해 오랜 시간 공을 들였다. 《중국소설사략》은 그러한 노력의 결과물이라 할 수 있다. 하지만 시대적인 한계로 루쉰은 많은 자료들을 섭렵할 수 없었기에 그때마다 주위의 도움을 받아야 했다. 그 가운데 시오노야 온의 저작이 크게 영향을 주었던 것은 움직일 수 없는 사실이다. 이 논문에서는 두 사람의 저작을 꼼꼼하게 분석함으로써 양자의 동이점과 그 의의를 밝히고자 한다.

    영어초록

    Shionoya On’s The Discourse of Introduction of Chinese Literature played a pioneer role in the times drama and novel were not treated as well as it should be. Lu Xun got a lot of inspiration from that and a practical help of materials. This caused the controversy that Lu Xun plagiarized Shionoya On’s. Even though it ended up the happening over ‘social event’ regardless of it, it was true that they had lot of similarities between two books.
    Despite of such similarities, the difference between them consists in their arguments. Shionoya On’s The Discourse of Introduction of Chinese Literature was to organize and publish his lecture copies and give a general description of a Chinese Literature for the public to easily understand it. The contents of Chinese Novels is just a part of this book, it was not written for the specific history of novels. Contrary to this, Lu Xun collected the materials of Chinese novels from his youth and was at great pains to write the history of Chinese novels for a long time. His The Brief History of Chinese Novel can be called its result of such efforts. But he could not get through many references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times and needed help from his associates. Among them, Shionoya on’s The Discourse of Introduction of Chinese Literature was one of the great help to him. In this thesis, the significance and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m will be turned out by close researc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중국소설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5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