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嶺南樓詩韻』에 수록된 한시의 특징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Poems in YeonnamrooSiUn(嶺南樓詩韻))

3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8.12
33P 미리보기
『嶺南樓詩韻』에 수록된 한시의 특징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 / 57권 / 57호 / 145 ~ 177페이지
    · 저자명 : 이남면

    초록

    이 논문은 최근 새롭게 발굴된 편저자 미상의 필사본 『嶺南樓詩韻』을 대상으로 하여 그 안에 수록된 한시의 특징을 살핀 것이다. 『영남루시운』은 영남루 관련 건물을 6개로 구분한 뒤 각 건물별로 앞에 기문 및 상량문을 수록하고 뒤에 한시를 운목별로 제시하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수록된 작품은 임진왜란 이전의 것이며 총 작가 수는 412명, 작품 수는 산문 11편, 운문 559수이다.
    내용의 특징은 ‘산수’와 ‘감흥’을 기준으로 하여 크게 셋으로 구분되었다. 첫째 산수미를 완상하고 그 감흥을 담은 경우이다. 이때 시인들은 산수 자체에 집중하고 몰입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산수를 감상하면서도 다른 想念에 잠겨 있는 경우이다. 이 작품들은 자신의 임무 수행에 대한 자괴감, 서울에 있는 군주 생각, 무상감, 이별의 슬픔 등이 산수 감상과 동시에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셋째 영남루에 올라 산수를 전혀 감상하지 못하는 경우이다. 민생 구제를 우선시하거나 밀양 일대의 문제로 인해 우민의식을 드러낸 작품들이 이 경우에 해당한다.
    형식의 특징은 시형이 칠언율시와 칠언절구 형식을 중심으로 전승되고 연작시 창작이 많은 점을 꼽을 수 있다. 전자는 영남루 제영시가 시형의 다양화를 꾀하지 못한 한계가 있으나 반대로 특정 시형을 중심으로 영남루 제영시의 전통이 확립되고 칠언율시와 칠언절구의 발전에 기여한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후자는 시인들이 다양한 생각을 표현하고 싶을 때 장편시보다는 칠언율시와 칠언절구의 전승을 유지할 수 있는 연작의 형태를 더 선호했음을 보여준다. 한편 『영남루시운』에 수록된 작품들은 경관 묘사 과정에서 다양한 방식의 참신한 표현이 많았으며 시 전반에 공교한 표현 수법이 활용되어 시의 미감을 더해주는 작품도 있었다.
    이처럼 수많은 문인・학자들이 영남루와 그 주변 누정에서 동일한 형식의 창작을 전승하면서도 새로운 표현과 기법으로 경치를 묘사하고 자신의 생각을 드러내었다. 영남루와 그 주변 누정은 문인들의 창작 능력을 제고시킴으로써 다양한 작품을 산생시킨 공간이었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poems in terms of content, form, and expression in YeonnamrooSiUn, a manuscript that was newly found in recent years and whose compiler was unknown. It distinguishes the buildings related to Yeonnamroo into six, introduces the Gimun and Sangryangmun of each building first, and presents a Chinese poem by the Woonmok later. The works found in the book were created before Imjinwaeran. It covers total 412 writers, 11 prose works, and 559 poetry works.
    These work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major groups for their content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riteria of “scenery” and “appreciation.” The first group includes works that depict the enjoyment and appreciation of beauty in landscapes. In this case, poets tended to concentrate on and get immersed in scenery itself. The second group depicts authors having different thoughts from scenery while appreciating it. These works tend to present the authors' sense of shame for their performance, thinking of the monarch in the capital, sense of meaninglessness, and sorrow of parting along with the appreciation of scenery. The last group presents works in which the authors do not appreciate scenery at Yeonnamroo. In these works, the authors put the relief of people's livelihood first or worried about the issues in and around Milyang.
    As for the characteristics of the works in terms of form, many of them were transmitted based on the forms of Chileonyul poetry and Chileonchilgu and in the form of serial poetry. The former showed the limitations of Jeyeong poems about Yeonnamroo with the diversification of poetic forms, but they established the tradition of Jeyeong poetry about Yeonnamroo around certain poetic forms and contributed to the development of Chileonyul poetry and Chileonchilgu, thus holding their own significance. The latter show that the poets preferred the form of serial poetry to maintain the transmission of Chileonyul poetry and Chileonchilgu to long poetry when trying to express their diverse ideas. In YeonnamrooSiUn, many works are full of original expressions in various modes in the depiction process of landscapes with some works adding an aesthetic sense by adopting elaborate expressive techniques throughout a poem.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 good number of literary figures and scholars used new expressions and techniques to describe landscapes and their thoughts at Yeonnamroo and the nearby arbors while transmitting the same form of creation. Yeonnamroo and the nearby arbors provided literary figures with a space to create various works by increasing their creative ab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동한문학(大東漢文學)”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