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통도사 창건 설화에 끼친 영향 관계 검토- 중국과 신라 五臺山 및 皇龍寺의 영향을 중심으로 (A consideration on the relational influence in the story of Tongdosa founding-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China and Silla Odae Mountains and the Hwangnyongsa Temple)

2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1.09
27P 미리보기
통도사 창건 설화에 끼친 영향 관계 검토- 중국과 신라 五臺山 및 皇龍寺의 영향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아시아불교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불교문화 / 47호 / 251 ~ 277페이지
    · 저자명 : 염중섭

    초록

    통도사는 한국불교를 대표하는 사찰 중 한 곳이다. 그럼에도 창건 기록과 관련해서는 『삼국유사』 「慈藏定律」에 ‘선덕여왕 때 자장이 창건했다.’는 단편적인 언급만 존재할 뿐이다. 그런데 통도사 측의 1642년 기록인 「通度寺舍利袈裟事蹟略錄」에는 통도사 창건과 관련된 흥미로운 설화가 수록되어 있어 주목된다.
    본고는 통도사가 慈藏에 의한 사찰임에도 불구하고, 法華思想과 관련된 靈鷲山(鷲捿山)에 위치하고 있다는 점. 또 통도사 창건 설화에서 확인되는 ‘문수보살이 사찰 터를 지정하는 방식’과, ‘毒龍을 변화시켜 사찰을 수호하게 하고 연못을 메워 통도사를 창건했다’는 내용에 관해 검토해 본 것이다.
    이를 통해서 영축산이라는 산 이름은, 중국 오대산 안에 존재하는 영축산의 형태와 大孚靈鷲寺의 영향에 의한 것임을 밝혔다. 또 문수보살이 통도사의 건립 위치를 비정하는 방식은 신라 오대산의 창건 방식과 일치한다는 점. 그리고 용이 사는 연못을 메우고 사찰이 창건되며, 그 용이 사찰을 수호하는 구조는 황룡사에서 살펴지는 내용임을 분명히 했다. 즉 통도사의 창건 설화는 독자적인 구조와 내용의 전승보다는 외부 영향에 의해 재구성된 방식을 취하고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ongdosa Temple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temples of Korean Buddhism. Nevertheless, there is only a fragmentary reference to its foundation in "Jajang jeongnyul(慈藏定律)" section of <The History of Three Kingdoms>, as such: ‘Jajang founded it during the reign of Queen Seondeok.’ However, the <Tongdosa Sarigasa Sajeok Yaknok> written by Tongdosa Temple in 1642 has an interesting legend related to the founding of Tongdosa Temple.
    This paper reviews about the story in the book that, although Tongdosa Temple is a Buddhist temple built by Jajang, it is located in Mt. Yeongchuk(Chukseo) related with Avatamska faith, and that the founding legend has interesting comments as such: “Manjusri Bodhisattva designated the temple site” and “A toxic dragon was changed to protect the Tongdo Temple and the pond was filled to build the temple on it”.
    Through this review, it was found that the name of Yeongchuksan was influenced by the shape of Yeongchuksan in Chinese Odaesan and the influence of Daeburyongchisa Temple in it. In addition, the way in which Manjusri Bodhisattva designated the temple site of Tongdosa is the same as the founding method of Odaesan in Silla. And in the story that the pond where a dragon had lived was filled and the temple was built on it while the dragon came to protect the temple, it was clarified that its structure is also found in the story of Hwangnyongsa. In other words, Tongdosa's founding narrative is based on the method reconstructed by external influences rather than the transmission of its own structure and conten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불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