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皇龍寺址 東西 金堂址와 講堂址의 불상봉안 여부와 존상명 (The Enshrinement and the Names of Buddhist Statues in the Eastern and Western Golden Halls and the Lecture Hall in Hwangnyongsa Remains)

5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1.12
53P 미리보기
皇龍寺址 東西 金堂址와 講堂址의 불상봉안 여부와 존상명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신라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신라사학보 / 23호 / 341 ~ 393페이지
    · 저자명 : 양은경

    초록

    ≪三國遺事≫ 권2 제4 탑상조에 언급된 황룡사에 존재한 연좌석은 실제 고고학적인 발굴내용과 결부시켜 동금당 후면에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더욱이 연좌석이 “佛殿 後面에 있었다”는 기록을 통해 황룡사 중금당 좌우에 배치된 건물지의 성격은 불전, 즉 금당이 명확하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삼금당에 봉안된 불상의 존상명은 우선 ≪삼국유사≫ 기록을 통해 가섭불, 석가불의 존재는 확인되었다. 더욱이 이 두 불상과 연관관계가 있는 불상은 미륵불이기 때문에 결론적으로 황룡사 삼금당에는 가섭불, 석가불, 미륵불의 삼세불이 봉안되었던 것이다. 위의 문헌기록, 고고학적인 발굴내용을 결합시킨다면 황룡사 동금당에는 가섭불, 중금당에는 석가불, 서금당에는 미륵불이 안치되었던 것으로 복원할 수 있다.
    황룡사 강당지의 서편에서 발견된 3.3×3.3m의 석단의 유구는 고승이 앉은 고좌를 마련한 자리라고 가정해 볼 수 있다. 일본 도쇼다이지(唐招提寺)와 야쿠시지(藥師寺)의 강당 내부에 마련된 고좌 2기는 법회나 각종 설법이 진행될 때 講師와 讀師가 앉았던 자리이다. 이를 통해 황룡사 강당지의 석단은 고좌이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재질을 통해 石壇 이었거나 石臺 위쪽에 예반과 같은 형태의 반을 놓았을 것으로 추정해 볼 수 있다.
    황룡사 강당에서는 백고좌회가 거행되었던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에 백고좌회 당시 필요한 품목 중 ≪仁王經≫에서 언급한 불상, 보살상 등 불교조각상의 안치여부가 궁금하다. 일본 야마다데라(山田寺) 강당에는 불상과 보살상, 도쇼다이지 강당에는 미륵불좌상, 야쿠시지에는 미륵삼존상이 안치되어 있다. 더욱이 ≪三國遺事≫기록에도 764년 완공된 백월산남사의 금당에는 미륵상, 강당에는 아미타상이 안치되었다는 내용이 확인된다.
    더욱이 일본 중세시대에 묘사된 <春日權現驗記繪卷>에는 코후쿠지(興福寺) 강당에서 거행된 維摩會의 장면이 그려져 있는데, 강당 내외의 모습이 황룡사지 강당과 유사하다. 그림 속에서 유마회 당시 강당에는 불상 1구, 보살상 2구의 삼존상이 모셔져 있기 때문에 황룡사 강당에서 거행된 백고좌회 당시에도 불상이 안치되었을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추정된다.

    영어초록

    It is presumed from the archeological investigation of the excavation-site of Hwangnyongsa Temple that the Buddhist statue on the lotus seat, which is mentioned to have existed in Hwangnyongsa Temple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Sam-Kuk-Yu-Sa), was located in the back of the Eastern Golden Hall. And it can be inferred from the quotation, “the Buddhist statue on the lotus seat was in the back of the Buddhist sanctum”, that the Eastern and Western buildings of the Center Golden Hall were Buddhist sanctums, also called the Golden Halls.
    The names of two Buddhist statues which were enshrined in the three Golden Halls have been identified as Kasyapa-Buddha (Ga-Sup-Bul) and Sakyamuni-Buddha (Suk-Ga-Bul) from a record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Sam-Kuk-Yu-Sa). And because the other Buddhist statue which was mostly related to the two Buddhist statues is Maitreya-Buddha (Mi-Ruk-Bul), it is concluded that Kasyapa-Buddha, Sakyamuni-Buddha, and Maitreya-Bu ddha were enshrined in the three Golden Halls in Hwangnyongsa Temple. And, from the combined evidence of the above-mentioned historical record and the archeological investigation, Kasyapa-Buddha can be located in the Eastern Golden Hall; Sakyamuni-Buddha in the Center Golden Hall; and Maitreya-Buddha in the Western Golden Hall.
    The remains of a stone-platform, the size of 3.3X3.3m, which was excavated in the west of the Lecture Hall-remains in Hwangnyongsa Temple, can be assumed to be the site of the high chair for a high priest. Two high chairs in the both Lecture Halls of Doshodaigi Temple and Yakuskgk Temple in Japan are for the lecturer and the reader during the Buddhist ceremony or sermon. From this fact, the stone-platform in the Lecture Hall in Hwangnyongsa Temple seems to be, very likely, the high chair of for a high priest; its shape was probably simply the stone-platform or the stone-board with a table on it.
    Because it is believed that the Buddhist Ceremony for the Protection of the Nation (Bak-Go-Za-Hwae) was performed in the Lecture Hall in Hwangnyongsa Temple, it is also speculated that Buddhist statues such as the statues of Buddha and Bodhisattva, which were mentioned in In-Wang-Kyung, were enshrined in the Lecture Hall in Hwangnyongsa Temple. In Japan, the statues of Buddha and Bodhisattva are enshrined in the Lecture Hall in Yamadadela Temple; the seated statue of Maitreya-Buddha in the Lecture Hall in Doshodaigi Temple; the three statues of Maitreya and Bodhisattva (Mi-Ruk-Sam-Zon) in the Lecture Hall in Yakusizi Temple. Furthermore, in The Heritage of the Three States (Sam-Kuk-Yu-Sa), there is a record that the statue of Maitreya-Buddha was in the Golden Hall, and the statue of Amita-Buddha was in the Lecture Hall in Bak-Wyal-San-Nam Temple which was completed in 764.
    In addition, in Chun-Il-Kuan-Hyun-Hum-Gi-Hwae-Kuan, which was originated during the Japanese Medieval period, there is a painting that portrays the scene of the Yuma Buddhist ceremony in the Lecture Hall in Ko-Hu-Ku-Zi Temple. In the painting, the inside- and outside-structures of the Lecture Hall look similar to those of the Lecture Hall in Hwangnyongsa Temple. And one statue of Buddha and two statues of Bodhisattva were portrayed in the Lecture Hall. Therefore,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Buddhist Statues were enshrined in the Lecture Hall in Hwangnyongsa Temple during the Buddhist Ceremony for the Protection of the Nation (Bak-Go-Za-Hwa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라사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5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