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희룡(趙熙龍)의 임자도 유배기 한시 연구 (A Study 0n Cho Hee-ryong’s Exile poetry in Imja-do)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1.10
31P 미리보기
조희룡(趙熙龍)의 임자도 유배기 한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시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시연구 / 29호 / 157 ~ 187페이지
    · 저자명 : 강혜선

    초록

    조희룡 회화의 예술적 성취와 예술론(시서화론)이 일찍부터 조명받은 것에 비해, 그의 한시는 해설 차원에 머문 감이 없지 않다. 이에 본고는 한시 작품론의 측면에서 그의 유배기 한시를 재조명하였다. 조희룡은 만년에 전라도 임자도에 유배되어 3년 동안 살았는데, 유배기의 한시를 수록한 『우해악암고』를 대상으로 구체적인 양상을 분석하였다. 조희룡은 조선 후기 성행한 절구 연작시를 선호하였다. 유배 도중과 유배지에서 직접 바라본 풍경을 그린 사경시(寫景詩)에서 소폭의 산수화 같은 정경을 만들어 보였으며, 회인시(懷人詩)의 전통을 계승한 <회인절구>에서는 특히 화가의 안목으로 대상 화가의 본령을 서정적으로 품평하였다. 한편, 조희룡은 유배 생활의 일상 정감을 유쾌한 어조로 토로하였는바, 스스로 희작(戲作)이라 칭한 작품들을 주목해 보았다. 희작 성향의 한시에서는 불교의 언어가 농담과 해학의 언어로 바뀌는 등 시어의 활용이 돋보였는데, 이는 암울한 유배지에서도 즐겁고 유쾌하게 살려고 한 그의 삶의 태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유배지에서 조희룡이 몰두한 세계는 바로 시화(詩畫)였다. 그가 주장한 시화일체론(詩畫一體論)의 핵심은 화의(畫意)로 시정(詩情)이나 시경(詩境)을 만드는 창작 방법이라 할 수 있고, 그는 그러한 실례를 자신의 한시 창작에서 구현해 보였다. 조희룡이 문인의 시와 차별되는 화가의 시를 추구하였던 것이라 보인다. 유배지에서 시화에 몰두하여 자유자재로 창작하는 희열을 조희룡은 유희삼매(遊戲三昧)라는 말로 지칭하였으며, 그러한 경지에 이른 자신을 시로 형상화하였다.

    영어초록

    Cho Hee-ryong's artistic achievements and art theory have been under the spotlight from an early age. On the other hand, I think that his Chinese poems stayed at the level of commentary. Therefore, this paper tried to re-examine his exile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analysis of works. Cho Hee-ryong was exiled to Imja-do, Jeolla-do in his later years and lived there for three years. I analyzed the perso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his exile poetry using 『Uhaeakamgo』, which contains the works of poetry from this period. He preferred to write a series of short poems popular in the late Joseon Dynasty. In his poems depicting the scenery he saw during his exile and directly from the place of exile, he made a small landscape like a landscape painting. In addition, in <Hoein Jeolgu(懷人絶句)>, which inherits the tradition of his Hoein poetry(懷人詩), he especially lyrically evaluates the essence of a specific painter based on his own perspective as a painter. His poems narrated in a pleasant tone the daily feelings of exile, and he called himself a playful poem. Even in his poems, Buddhist language was used for jokes and humor. This seems to reflect the attitude of his life that he tried to live happily in exile. The world that Cho Hee-ryong was immersed in in exile was poetry and painting. He insisted on the traditional theory that poetry and painting are one, and further suggested a creative method of writing poetry through painting. This is a method of borrowing the meaning of a painting(畫意) and creating a poetry scene(詩境). He embodied such a creative method in his own poetry. Cho Hee-ryong pursued the poetry of a painter that was different from that of a writer. He referred to the joy of creating freely by immersing himself in poetry and painting with the word 'Playing Sammae(遊戲三昧)', and he also embodied himself in such a state of joy in his poem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5월 1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