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三國遺事』 惠通降龍條의 전거자료와 기년문제 (Reference material and period of an item Hyetonghangryong in Samgukyusa)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2.06
36P 미리보기
『三國遺事』 惠通降龍條의 전거자료와 기년문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사학회
    · 수록지 정보 : 韓國史學史學報 / 25호 / 29 ~ 64페이지
    · 저자명 : 김연민

    초록

    『삼국유사』의 신주편은 신라로부터 연유한 고려의 밀교종파를 존중하려는 의도에서 설정되었다. 惠通降龍조가 중간에 배치되고 明朗神印조로 신주편이 마무리된 것은 왕건의 후삼국통일에 일조한 神印宗을 강조하기 위해서였다. 한편 혜통항룡조에는 구체적인 인용서목이 제시되지 않았지만 출신, 출가동기, 수행과정, 행적 순으로 나타난 서술방식을 통해 혜통의 전기 자료가 존재했음을 유추할 수 있다. 이에 信忠奉聖寺의 연기설화가 수록된 「三和尙傳」이 바로 혜통항룡조의 전거자료라 판단된다. ‘三和尙’이란 표현에 유의해 신주편을 검토한 결과, 密本摧邪조와 明朗神印조는 같은 자료에 근거해 서술된 것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현재 남아있는 자료로 볼 때 「삼화상전」은 혜통 한 사람의 전기이다. 혜통의 별명이 ‘王和尙’이라는 점에서 본래 이름은 「王和尙傳」일 것으로 생각된다.
    혜통항룡조는 「왕화상전」이란 단일자료에 의거한 서술이지만 내용 자체에서 시기 상 모순된 표현이 찾아진다. 바로 ‘信忠’과 ‘無畏三藏’이다. 혜통항룡조의 신충을 信忠掛冠조의 신충과 동일인물로 본다면 신문왕대와 효소왕대를 배경으로 하는 혜통의 활동시기를 신뢰할 수 없다. 하지만 奉聖寺의 완성이 신문왕 5년(685)으로 확실함을 유념해야 한다. 또한 「皇福寺碑片」에서 확인되는 성전사원인 ‘奉聖神忠寺’가 信忠奉聖寺를 의미한다면 혜통항룡조의 봉성사 창건설화는 신문왕대로 인정될 수 있다. 즉 혜통항룡조의 信忠은 본래 ‘神忠’으로 신충괘관조의 주인공과 다른 인물이다. 신충봉성사의 설화는 신문왕의 대민안정 의지를 상징한 것이며, 그것을 중재했던 밀교승려 혜통의 역할을 강조하려는 것이다.
    혜통항룡조의 연대가 사실이라면 혜통의 스승으로 등장한 무외삼장이 의심된다. 무외삼장은 8세기 중기밀교를 처음으로 전래한 善無畏를 뜻한다. 곧 무외삼장은 혜통의 후예에 의해서 내세워진 존재이다. 8세기 이후 신라출신의 밀교유학승들은 선무외 문하에 몰려있었는데, 이는 『大日經』에 대한 관심으로 볼 수 있다. 신인종의 계보가 金剛界의 영향을 받은 것처럼 혜통의 후예도 胎藏界의 계보를 염두에 두고 선무외를 혜통의 스승으로 가상하였을 것이다. 대체로 9세기 전반에는 중국과 일본에서 밀교교단의 정통성을 위해 법맥도를 작성하였다. 이런 경향이 신라에도 영향을 미쳐 「왕화상전」이 저술되고 선무외가 혜통의 스승으로 내세워졌을 것이다.

    영어초록

    A clause Sinju(神呪) of Samgukyusa(三國遺事) is biographical writings of the Silla's Esoteric Buddhist monks. The reason this set is because Goryeo's Esoteric Buddhism sects continued from Silla. Sinju's items was composed of ‘Milbonchoisa(密本摧邪:Milbon defeat the evil)’, ‘Hyetonghangryong(惠通降龍:The devil dragon be surrendered to Hyetong)’, ‘Myeonglangsinin(明朗神印:Sinin-sect of Myeonglang).’ Finally because Myeonglangsinin is organized because of the respect of Goryeo's Sinin-sect(神印宗). And because Hyetonghangryong contained Chongji-sect(總持宗) of the Goryeo Dynasty.
    Hyetonghangryong's content has the form of Buddhist monk's biography. Samhwasangjeon(三和尙傳), an item Sinchunggwaegwan(信忠掛冠) is quoted in Samgukyusa, is thought to be Hyetonghangryong's source material. Perhaps it is the original name of the Wanghwasangjeon(王和尙傳). Because Hyetong is called the Wanghwasang(王和尙).
    But its contents are not a representation that might be controversial. In other words, ‘Sinchung(信忠)’ and ‘Muoesamzang(無畏三藏)’ is an expression that resolves to posterity. However, Bongseong-temple(奉聖寺) was built in 685 by King Sinmun(神文王). In addition, the inscription of Hwangbuk-temple's(皇福寺) memorial stone ‘Bongseongsinchungsa(奉聖神忠寺)’ was the phrase. Therefore, Sinchung was the reign of King Sinmun.
    Then Muoesamzang is not Hyetong's teacher. He originally named ‘Subhakara simha(善無畏)’, and is the 8th century Esoteric Buddhist monk. He first brought the teachings of the Maha Vairocana Sutra(大日經). So he became Hyetong's mentor shows an interest in the Maha Vairocana Sutra of the Silla's Esoteric Buddhist monks. An international student of Silla's Esoteric Buddhist monks was the highest among those of Subhakara simha's disciples. In China and Japan, often the 9th century, the pedigree of Esoteric Buddhist sect was written. Influenced by this atmosphere, Wanghwasangjeon also would have been writte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韓國史學史學報”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