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皇龍寺址 外 出土 평기와 調査硏究 (Study of Roof Tiles Excavated from the site of Hwangryong Temple Corridors)

7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2.06
70P 미리보기
皇龍寺址 外 出土 평기와 調査硏究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문화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문화사학 / 17호 / 113 ~ 182페이지
    · 저자명 : 최맹식

    초록

    황룡사지 평기와에 대한 분석작업은, 古新羅 後半期 평기와의 단면을 알 수 있는 중요한 열쇠로 인식된다. 황룡사지는 신라의 古都일뿐만 아니라 국가에서 가장 중시한 대표적인 사찰이었기 때문이다. 당시 황룡사지의 위치는, 국가의 가장 첨단기술을 가진 기와匠人들이 만든 기와를 이곳에 사용했다고 보아도 될 것이다. 이러한 당시의 현실은 기와의 器形, 胎土, 製作技法에 따른 여러 가지 기법이 대부분 적용되었을 가능성이 높게 하는 것이다.
    실제로 이번에 선별대상 평기와가 극히 제한적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제작기법에서 보여준 여러 가지 적용법은 백제 古都와 주변 출토 평기와와 공통점이 대단히 많았다. 이러한 기법의 공통점은 당시 기와제작 기법이 國家間 交流가 있었을 가능성을 높게 하는 것이었다. 특히 눈테의 기법에서는 아직 백제지역에서도 확인되지 않은 기법이 새로 확인됨으로서, 기와 제작시 국가간 교류나 이를 넘어선 독자적인 固有性이 국가별로 존재하고 있었을 가능성을 높게 하는 것이다
    황룡사지 평기와에서 드러난 통쪽와통의 존재와 통쪽 연결끈 이음법의 확인, 눈테의 다양성은 이러한 기법이 곧 당시 古都였던 慶州를 중심으로 지방까지도 이러한 기법이 존재했을 가능성을 높게 하는 것이다. 그렇지 않다면 이러한 여러 기법들이 지역적으로 어느 범주까지 流布되었는지 확인할 필요성으로 대두된다.
    慶州競馬場敷地에서 출토된 기와에서도 통쪽와통의 존재가 드러난 바가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경주를 중심으로 한 통쪽와통의 보고사례는 황룡사지 이외에 이렇다할 유적이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측면은 평기와에 대한 정밀한 분석작업이 선행되지 않은 데에서 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근래에 들어와 평기와에 대한 보다 정밀한 조사가 이루어지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앞으로 많은 유적에서 그 실체가 드러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고, 아직 파악되지 않은 내용들이 밝혀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京畿道 주변의 新羅산성 조사에서는 古新羅에 속함에도 불구하고, 통쪽와통의 존재가 확인되지 않는 사례가 있다. 이러한 측면은 新羅가 통쪽와통에 대한 선호도가 낮은 데에서 기인한 것인지, 慶州를 중심으로 하여 통쪽와통의 사용 분포가 제한적이었던 것인지, 그렇지 않으면 통쪽와통의 流入의 時期的인 차이에서 그 원인이 있는지 앞으로 좀 더 많은 유적에서 철저한 검증작업이 선행되어야 할 문제로 남는다.
    이번 조사에서는 기와 성형시 사용되는 素地中 널판형 素地만 확인되었으나, 현지에서 가래떡형 소지가 적지 않게 출토되었음을 알게되었다. 이러한 두 가지 유형의 素地 존재는 백제나 고구려 모두 이미 확인된 것이어서, 이는 삼국이 서로 이러한 기법을 共有하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또 김해 부원동유적에서도 가래떡형 素地의 존재가 확인된 바 있는데, 이는 신라가 경주에서 벗어난 지방까지 이러한 기법이 유포되어 있었음을 의미한다.
    아직 평기와에 대한 조사연구는, 삼국 모두 알려진 것에 비하여 앞으로 조사해야 할 점들이 산적된 것으로 헤아려진다. 이러한 점에서 경주를 중심으로 한 古新羅 지역에서의 평기와에 대한 철저한 분석작업이 이루어져야 三國間의 共通點, 差異點을 보다 확연하게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작업은 곧 통일신라 이후 製作技法과 紋樣의 變化, 高麗, 朝鮮時代로 이어지는 평기와의 변천을 이해하는 데에도 결정적인 견인차 역할을 할 수 있게될 것으로 믿어진다.

    영어초록

    Hwangryongsa was one of the major Buddhist temples of the Silla kingdom and it is known to have survived up until the third Mongol invasion in the Goryeo Dynasty.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roof tiles used here were produced by the most skilled craftsmen of Silla. The shape and manufacturing techniques of the tiles reveal the general trend of roof-tile manufacture during Silla. The diversity shown in production techniques confirms many points that up to now could not be confirmed at other Silla historical sites. Though there is no difference in shape with Baekje tiles, confirmation of the cord that connected the two sides of assembly molds together provided concrete evidence of the assembly-mold method of tile manufacture; also the presence of various dividing lines shows the likelihood of exchange with Baekje and Goguryeo. The difference between Silla tiles and those of Baekje and Goguryeo is the much higher proportion of tiles manufactured with cylindrical molds rather than assembly molds during Silla, and it is this prevalence of cylindrical-mold tiles during Silla that accounts for the cylindrical mold manufacturing technique being passed down to the Joseon and Goryeo dynas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5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