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義龍 體訓의 문학세계 (The Literary World of Euiryong Chehoon(義龍體訓))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4.06
35P 미리보기
義龍 體訓의 문학세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열상고전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열상고전연구 / 40호 / 577 ~ 611페이지
    · 저자명 : 김종진

    초록

    본고는 조선후기 문집으로 작가가 밝혀지지 않은 채 『한국불교전서』에 수록된 『義龍集』의 작가를 밝히고 그 문학적 특징을 살펴본 글이다. 『의룡집』의 작가는 義龍 體訓으로 1820년대 초에 출생하여 1890년대 초에 입적한 것으로 추정된다. 대사의 스승은 枕松 戒彦(19세기 중후반)이며 대사의 주요 활동 공간은 범어사이다.
    대사는 삶에 대한 회고와 성찰을 시에 담아내었고, 시를 인생의 회한을 풀어내는 매개로 활용하고 있어 효용론적 시론을 실제의 시를 통해 표출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또 대사의 시는 외적 사물에 대한 시적 탐구를 통한 서정성의 발현이 두드러진다. 동래지역의 관료들과의 교유시, 금정산과 범어사의 지역적 소재를 담은 시는 이 문집의 지역문학적 가치를 담보하는 요인이 된다.
    대사의 시에는 선적 사유보다는 일상에서 시적 탐구를 진행하는 시인의 면모가 더 부각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대사의 서정성이 충만한 문학적 성격은 다음 세대의 근대 서정시의 감각으로 이어질 수 있고, 근대와 전근대 문학의 지속과 비교 가능성을 제기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대사는 여러 불사에 모연문이나 중창기를 썼고 사찰계(甲契, 宗契)에 참여했으며 그 과정과 목적을 기록한 기문(「임오갑헌답유공기(壬午甲獻畓有功記)」, 「종계서(宗契序)」)을 남겼다. 범어사가 근대에 포교 교육 종단 운영에서 혁신적인 운동을 전개할 수 있었던 저변에 다수의 사찰계를 운영해 왔던 범어사의 전통이 자리 잡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볼 때 대사의 기문은 이러한 상황을 일부 반영하는 것으로서 의의가 있다. 「범어사폐막조건기(梵魚寺弊瘼條件記)」에는 19세기 중후반에 범어사가 당면한 경제적 상황이 반영되어 있고, 「범어사승군등장(梵魚寺僧軍等狀)」에는 범어사 승군에 대한 관가의 대우가 어떠했고 그에 대한 범어사 차원의 대응은 어떠했는지 당시의 현실 상황이 담겨 있다. 이를 통해 대사의 기문이 지니는 현실문학적 가치를 인정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author of Euiryongjip (義龍集) included in The Complete Collection of Korean Buddhism (韓國佛敎全書) and to examine its literary characteristics. The writer of Euiryongjip is Euiryong Chehoon (義龍 體訓) who was presumably born in the early 1820s and died in the early 1890s. The Buddhist priest’s teacher was Chimsong Gyeeon (枕松戒彦. mid and late 19th century), and his main dwelling was the Beomeo sa Temple(梵魚寺).
    As the priest’s poems contain recollection of and reflection on his life and are used as a medium for venting out remorse of life, they may be considered to express the poet’s poetic view for the practical use of poetry. In addition, his poetry is remarkable in the manifestation of lyricism through the poetic exploration of external things, and the collection upgrades the value of local literature by its inclusion of poems written together with government officials in the Dongrae(東萊) area and those related to Mt. Geumjeong(金井山) and the Beomeo sa Temple.
    The priest’s poems are characterized more by the poet’s personality inclined to poetic exploration in his daily life than by Zen thought. What is more, his literary nature full of lyricism is significant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that it could lead to the sense of modern lyrics following just after him and suggests the possibility of continuance and comparison between modern and premodern poetry.
    Euiryong wrote Moyeonmun (募緣文-A Buddhist monk’s writing for encouraging donations and seeking the establishment of good relationships) and Jungchanggi (重創記-records on temple reconstruction) for various Buddhist projects, and was involved in Sachalgye (寺刹契-a mutual aid society of the temples) and left inscriptions recording its process and purpose.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Beomeo sa Temple could wage innovative movements on missionary work, education, and the operation of the religious order based on the tradition of the temple in operating a number of Sachalgyes, the priest’s inscription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reflect such a situation. Beomeo sa Pyemak Jogeongi (梵魚寺弊瘼條件記-Records on the evil practices of the Beomeo sa Temple and measures against them) reflects the economic situation faced by the Beomeo sa Temple in the mid and late 19th century, and Beomeo sa Seunggun Deungjang (梵魚寺僧軍等狀 Beomeo sa Temple monk army’s petition) describes contemporary situations related to how the government offices treated the Beomeo sa Temple monk army and how the Beomeo sa Temple responded to the treatment. These support the value of engagement literature contained in the priest’s inscription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열상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