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료기기의 사용성 제고를 위한 휴리스틱 평가 연구 -개인용 물리치료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A Study on Heuristic Evaluation for Improving the Usability of Medical Appliances -Centered on the Interface of Physiotherapy Devices for Home Use-)

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0.06
9P 미리보기
의료기기의 사용성 제고를 위한 휴리스틱 평가 연구 -개인용 물리치료기기의 인터페이스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디자인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 26권 / 2호 / 447 ~ 455페이지
    · 저자명 : 이하나

    초록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은2015년 13.1%로 우리나라는 이미 고령화 사회에 가까이 다가왔으며 2026년에는 초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게된다고 예상하였다. 고령 인구 증가에 따른 무릎 관절질환뿐 아니라 컴퓨터, 스마트 폰 사용시간이 늘어남에 건초염이나 손목터널증후군과 같은 질병 환자가모든 연령대에서 급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령화및 스마트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사회⋅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관절 관련 질환자가 증가하면서 집에서 개인물리치료기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아졌다. 그러나 기존의 개인용 물리치료기는 개인의 증상을 고려하지 못한 단순한 버튼형 인터페이스를 가지고 있어 사용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반면 최근 선보이는 운동보조 개인용 디바이스는 IoT 기반으로 휴대 및 사용이 간편한 웨어러블 형태로 사용과 휴대가 편리하다. 또한 증상별 관련 정보나 자가 운동 시나리오 서비스를 제공한다. 위와 같이 운동보조 개인용 디바이스에 비해 물리치료기의 사용성은 현저히 떨어진다. 선행연구 분석에서도 개인용 물리치료기에 대한 사용성 분석이나인터페이스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기존의 물리치료기의 사용성의 단점을 파악하고 향후물리치료 기기가 나아가야 할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관절 통증 질환자들이 주로 사용하는 대표적인 저주파 자극기를 중심으로 사용성을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연구와 사례분석을 통한 사용성 테스트로진행하였다. 우선 문헌연구와 인터넷 조사를 통해 기존 개인 물리치료기 시장의 현황을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LCD대화면으로 구성된 대표적인 물리치료기를사례로 선정하고 사용성 평가를 통해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형외과 전문의의 자문을통해 설문지를 작성하고 제이콥 닐슨(Jakob Nielsen) 의 휴리스틱 평가(Heuristic Evaluation)의 10가지 원칙을 기준으로 사용성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사용자에게 현재 상태를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가시성에서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냈다. 반면 사용자에게 적절한통제권을 부여하며 정확한 피드백을 제공하는 만족성부분에서는 가장 낮은 점수를 나타냈다. 특히 온⋅오프기능과 단순한 매뉴얼 형식으로 상호작용이 불가능한 단순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로 하여금 오작동을유발하고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기 위해서는오류에 대한 적절한 메시지 제공과 증상이나 통증에따른 적절한 사용 시간이나 방법에 대한 도움말이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개인 증상에 따른 개인맞춤형 저장기능을 제공해 직관적인 사용이 가능하도록 개선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써 개인용 물리치료기의 사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인터페이스 제작의기초 자료로 활용되어지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According to the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the proportion of people aged 65 or older relative to the population as a whole stood at 13.1% in 2015 in South Korea and the country is expected to become a super-aged society by 2026. It was reported that not only cases of degenerative knee joint problems but also health conditions such as tenosynovitis and carpal tunnel syndrome have rapidly increased for all ages due to extended use of computers and smartphones. Such social environmental factors have led to an increased use of in-home physiotherapy devices for joint diseases. While the existing physical therapy equipment for home use show a very low level of usability with its simple button interface that does not meet the needs of individual conditions of the users, the latest assistive devices are easy to use and carry with their wearable IoT-based system. They also provide information on each health condition or exercising scenario service. Compared to such assistive devices, the usability of physical therapy equipment is considerably low. Literature review also showed that not much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the usability or interface of in-home physiotherapy instruments.
    Thus, in order to identify the weaknesses of the existing physical therapy equipment and to find ways to improve them, this study analyzed the usability of lowfrequency stimulation machine, which is the most commonly used device for joint pain. The used research methodology was usability test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case study. First of all, the current state of the market was analy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Internet search. Then, a large-screen LCD physiotherapy device was selected for the case study and usability evaluation was conducted to find out how to make improvements on it. To do this, a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with the advice of an orthopedic surgeon and usability was assessed based on Jakob Nielsen’s 10 principles of heuristic evaluatio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device scored the highest on visibility of system status that keeps users informed about what is going on while it scored the lowest on satisfaction where user control and appropriate feedback are provided. In particular, its simple interface with on/off function and simple manual format was an error-prone condition. To overcome such inconvenience, error messages should be expressed in plain language and appropriate instructions should be provided for duration and use of the system for each symptom and pain. In addition, function to save personal setting that is tailored to personal needs should be offered to enable intuitive use of user interface.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help produce an interface that enhances the usability of physiotherapy devices for home u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31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