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심리치료적 관점에서 접근한 미술치료의 이해 (Understanding of Art Therapy from a Psychotherapeutic Point of View)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5.09
22P 미리보기
심리치료적 관점에서 접근한 미술치료의 이해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조형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조형교육 / 55호 / 301 ~ 322페이지
    · 저자명 : 최규진

    초록

    본 연구는 심리치료의 본질과 심리치료적 관계의 특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심리치료의한 형태로서 미술치료의 특성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심리치료의어원과 정의를 살펴봄으로써 심리치료의 본질에 대해 소고하고 심리치료에 관한 다양한 담론을 토대로 심리치료적 관계를 규정하는 특성과 심리치료 관계의 유형, 긍정적 심리치료 관계를 구성하는 요소들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심리치료적 관계가 치료사의 의도와 계획에 따라생성될 수 있는 일방적 관계가 아니며 내담자와 치료사의 상호작용을 통해 끊임없이 변화하는 역동적인 관계이고 이론적 학습과 기술의 습득을 통해 모방할 수 없는 고유한 성질을 띠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심리치료의 한 형태로서 미술치료의특성을 살펴보았는데 심리치료적 관계의 특성이 다양한 의사소통 매체를 매개로 하는 미술치료에서 더욱 뚜렷이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을 인지할 수 있었다. 특히 치료사와 내담자의 이원적 체계를 바탕으로 하는 일반적 심리치료에 비해 치료사와 내담자, 미술작업/시각적 결과물로 구성된 삼원적 체계를 근간으로 하는 미술치료에는 보다 다각적인 관계 구조를 생성할 수있는 치료 과정과 방식이 내포되어 있으며 이로 인해 치료사뿐만 아니라 내담자 측면에서 긍정적 치료적 관계를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방법과 기회가 존재한다는 점을 유추할 수 있었다. 심리치료적 관점에서 미술치료에 대한 이러한 고찰이 국내 미술치료의 저변이 확대되고있는 현재의 시점에서 미술치료의 본질적 특성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미술치료의 정체성및 치료사의 역할을 정립하는 데 필요한 하나의 이론적 단초가 되기를 기대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nature of art therapy as a type of psychotherapy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the latter’s essential characteristics.
    As a way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s of psychotherapy, the study traces its origin and changing concepts throughout history. The study also goes over various types of psychotherapeutic relationship and their characteristics, and looks into what constitutes a positive therapeutic relationship. Based on diverse perspectives, the study finds that psychotherapeutic relationship is not a static relationship shaped by the therapist, but a dynamically changing one based on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therapist and the client, and that each therapeutic relationship has its own unique character which can not be easily reproduced. Based on such understanding, the study looks into the nature of art therapy as a type of psychotherapy, and suggests that the dynamic, unique nature of psychotherapeutic relationship can manifest itself in a more pronounced way in art therapy due to its use of various media. Compared with general psychotherapy which is based on therapist-client dyad, art therapy with its triadic structure (therapist-client-artwork) has the potential to develop more complex web of relationships, thus provides richer resources and opportunities for both therapists and clients to create positive therapeutic relationship. This study hopes to serve as a discursive foundation upon which to better understand essential aspects of art therapy and the role of therapist at a time when the field of art therapy in Korea is fast expand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조형교육”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04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