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례에 의한 과태료의 부과 가능성 (Possibility of Imposing Administrative Fines by Ordinanc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5.03
30P 미리보기
조례에 의한 과태료의 부과 가능성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자치법연구 / 25권 / 1호 / 149 ~ 178페이지
    · 저자명 : 김동현, 김상태, 박영현

    초록

    지방자치제도는 지역의 주민이 그 지역에 관한 사무를 자신들이 선출한 기관을 통하여 직접 처리하게 함으로써 지방의 균형 있는 발전과 국가의 민주적 발전을 도모하는 제도로, 지방자치의 본질적 내용은 자치단체의 보장, 자치기능의 보장 및 자치사무의 보장이다. 그러나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입법권은 헌법 제37조 제2항과 「지방자치법」 제28조 제1항 단서에 의해 제한되고 있어 충분히 보장받지 못하고 있다. 또한, 「지방자치법」 제34조 제1항은 헌법 제117조에 따른 자치입법권을 구체화한 규정으로, 조례를 위반한 행위에 대하여 조례로써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침익적 조례를 제정하기 위해서는 법률의 위임이 있어야 한다는 제한으로 인하여, 자치사무의 영역에서는 과태료부과조례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본 연구는 헌법 제117조에 따른 자치입법권을 구체화한 「지방자치법」 제34조 제1항이라는 규정이 있음에도 조례로써 과태료를 부과하기 위해서 반드시 별도의 위임규정이 있어야 하는 것인지에 대한 의문에서 출발하고 있다. 이러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관련 법령의 해석론과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헌법 제37조 제2항과 제117조 제1항의 관계 및 「지방자치법」 제28조 제1항 단서와 제34조 제1항의 관계를 통해 과태료를 부과하기 위한 조례의 가능성에 대한 해석론을 제언하였다. 헌법 제37조 제2항과 제117조 제1항의 관계에 있어서는 제117조 제1항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자치입법권을 명문으로 규정하고 있다는 점, 제37조 제2항의 ‘법령의 범위 안에서’가 법률유보원칙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 지방의회의 자치입법권은 민주적 정당성을 갖춘 입법기관의 고유한 입법권의 행사라는 점에서 제117조 제1항의 자치입법권은 일반적 법률유보 규정인 제37조 제2항의 적용을 받지 않는다. 「지방자치법」 제28조 제1항 단서와 제34조 제1항의 관계에 있어서는 제28조 제1항 단서가 헌법 제37조 제2항의 내용을 확인하는 규정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 제34조 제1항이 과태료부과를 위한 조례 제정에 있어서 일반적 수권조항으로서 기능한다는 점에서 제34조 제1항은 제28조 제1항 단서에 대한 예외가 된다.
    이러한 해석론만으로는 여전히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므로 보다 확실한 문제 해결을 위해 헌법과 「지방자치법」의 개정안을 제시하였다. 헌법 제117조 제1항의 ‘법령의 범위 안에서’는 의미가 상당히 모호해서 개정의 필요성이 있다. 이에 제117조 제1항의 ‘법령의 범위 안에서’를 ‘법률에 위반되지 않는 범위 안에서(또는 법률에 저촉되지 않는 범위 안에서)’로 개정하여야 한다. 또한, 「지방자치법」 제28조 제1항 단서와 제34조 제1항이 충돌하므로, 이에 대한 해석을 명확히 하기 위해 제34조 제1항을 “지방자치단체는 제28조 제1항 단서에도 불구하고 조례를 위반한 행위에 대하여 조례로써 1천만원 이하의 과태료를 정할 수 있다.”고 개정하여야 한다.

    영어초록

    The substance of local autonomy includes guarantee of a self-governing body, guarantee of autonomous function, and guarantee of autonomous affairs. The guarantee of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is included here. However, the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of local governments is not properly guaranteed because it is limited by Article 37(2)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proviso to Article 28(1) of the Local Autonomy Act. In addition, Article 34(1) of the Local Autonomy Act specifies the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in accordance with Article 117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an administrative fine may be imposed by ordinance against an act violating the ordinance. However, due to the limitation that it must be mandated by statutes in order to enact such an invasive ordinance, it is not possible to enact an ordinance that allows the imposition of fines freely.
    This study starts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it must be mandated by statutes in order to impose fines by ordinance, even though the provision of Article 34(1) of the Local Autonomy Act exists. To solve such question, interpretations and amendments of the relevant Acts were presented in this study. First, the possibility of an ordinance to impose fines was reviewed through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le 37(2) and Article 117(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viso to Article 28(1) and Article 34(1) of the Local Autonomy A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rticle 37(2) and Article 117(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the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under Article 117(1) is not subject to Article 37(2), which is the statutory reservation provision, in that Article 117(1) stipulates the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of a local government in the text, that ‘within the limit of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in Article 37(2) does not mean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and that the autonomous legislative power of a local council is the exercise of the unique legislative power of a legislative body with democratic legitim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viso to Article 28(1) of the Local Autonomy Act and Article 34(1), Article 34(1) is an exception to the proviso to Article 28(1) since the proviso to Article 28(1) is merely a provision confirming the contents of Article 37(2)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Article 34(1) functions as a general empowerment clause in the enactment of an ordinance for imposing fines.
    These interpretations alone still have not addressed the problem, so amendments to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he Local Autonomy Act were presented to solve the problem more reliably. The meaning of ‘within the limit of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in Article 117(1)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is quite ambiguous, requiring amendment. Therefore, ‘within the limit of Acts and subordinate statutes’ in Article 117(1) should be amended to ‘within the scope of not violating Acts (or, within the scope of not against Acts).’ In addition, the proviso to Article 28(1) of the Local Autonomy Act and Article 34(1) are also in conflict with each other, so for more clear interpretation, Article 34(1) should be amended to “Notwithstanding the proviso to Article 28(1), a local government may determine, by ordinance, an administrative fine in an amount not exceeding KRW 10 million for the violation of the municipal ordina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프레시홍 - 추석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24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