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성별화된 재현 이미지에 대한 고찰: <미스트롯>과 <미스터트롯>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Research on the Gendered Representation of Image in Survival Audition Programs: Focusing on the Comparative Analysis of and )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4.03
36P 미리보기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의 성별화된 재현 이미지에 대한 고찰: &lt;미스트롯&gt;과 &lt;미스터트롯&gt;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방송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방송학보 / 38권 / 2호 / 80 ~ 115페이지
    · 저자명 : 김은영, 함승경, 백지연, 정사강

    초록

    경쟁적인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그램은 한국에서 주요한 장르이다. 매체의 가시성이 증가하고 프로그램 내부의 경쟁이 심화되는 과정에서 출연자의 몸은 성별화되어 재현된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크게 흥행했던 프로그램인 <미스트롯>, <미스터트롯>을 대상으로 성별에 따른 미디어 재현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각 1∼3회의 키프레임을 추출하여 숏 사이즈를 분석하고, 그중 클로즈업과 버스트숏에 나타난 출연자들의 표정을 애저(AZURE)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한 곡에 사용되는 숏 사이즈는 성별에 따라 모든 숏 사이즈의 활용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를보였으며, 남성 출연자에게는 클로즈업과 웨이스트숏, 여성 출연자에게는 버스트숏과 풀숏이 빈번하게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얼굴 표정 분석 결과 남성 출연자들은 부정적인 감정을 드러내는경멸과 공포의 표정을, 여성 출연자들은 유인가가 없는 놀람 표정을 상대적으로 더 빈번하게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 출연자들이 남성 출연자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몸을 더 드러내는 방식으로 재현되고 대상화되고 있으며 여성들의 감정 표현은 자제되는 반면 남성들은 여성들에 비해 감정을 스스럼없이 표현함을 보여준다. 이는 여전히 성별에 따라 여성과 남성이 다른 방식으로재현되고 있음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Despite changes in the media environment, competitive audition survival programs remain a significant genre in Korea. As the visibility of the media increases and the competition within it becomes more and more intense, performers reveal themselves. In this process, the representation of gendered bodies becomes a significant strategy. From this perspectiv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gender-specific media representations of <Miss Trot> and <Mr. Trot>, two greatly loved programs and box office hits in Korea regardless of age and gender. For this purpose, we extracted keyframes from each show’s first to third episode and analyzed 3924 frames of <Miss Trot> and 1093 frames of <Mr. Trot>, considering the song’s speed, focuses on the shot size and the performers’ facial expressions using AZURE.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shot sizes used in a song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se of all shot sizes by gender, with close-ups and waist shots being used more frequently for male performers and bust shots and full shots for female performers. In terms of facial expressions, the analysis of close-ups and bust shots showed that male performers were more likely to use expressions of contempt and fear to convey negative emotions, while female performers were more likely to use expressions of surprise. This suggests that female performers are being represented and objectified in a more revealing way than their male counterparts and that women are restrained from expressing their emotions. At the same time, men are shown to express their feelings more freely than women, suggesting that women and men are still being represented in different ways based on gend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방송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2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