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소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김 회권의 「자비 경제학」: 정의로운 소유는 무엇인가? (Kim Hae Kwon’s Economics of Mercy Presents a New Paradigm of Ownership : What Is the Just Ownership?)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22.12
26P 미리보기
소유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하는 김 회권의 「자비 경제학」: 정의로운 소유는 무엇인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인문사회과학회
    · 수록지 정보 : 현상과 인식 / 46권 / 4호 / 201 ~ 226페이지
    · 저자명 : 김요섭

    초록

    이 글은 김 회권의 「자비 경제학—구약성경과 하나님 나라 경제학」에 대한 비평 논문이다. 그가 이 책에서 정의하는 자비 경제학은 하나님을 믿는 언약공동체의 살림살이인데, 이것이 바로 21세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제시하는 소유의 새로운 패러다임이다. 김 회권이 제시하는 정의로운 소유의 새로운 패러다임은 토마스 페인의 자연법적 토지 사상과 구약성경의 토지 정의법을 근거로 한 토지 기본소득이다. 그는 정보와 부의 쏠림은 가난한 이들을 더욱 가난하게 만들면서 공동체의 존속을 위협한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오늘날 가난한 사람들, 더 구체적으로 말하자면 노인, 장애인, 고아, 과부 등의 노동력이 없는 이들에게도 기본소득이 필요하다고 주장하면서, 그들을 돌보지 않는 것이 공동체의 파멸까지 이어질 수 있다고 이 책에서 경고하고 있다. 페인과 구약성경 모두 기본소득은 노동력이 없는 이들이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라고 주장한다. 경제학적으로 노동의 관점에서 기본소득은 옳지 않다고 주장할 경제학자들은 많지만, 기본소득은 단순히 노동 경제학적 관점에서 바라볼 문제는 아니다. 공동체적 관점에서 김 회권이 제시하는 기본소득은 하나님을 믿는 언약공동체뿐 아니라 이 세계에 살아가는 모든 공동체에 기여하는 정의로운 소유의 개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 critical review on KIM Hae Kwon’s Economics of Mercy—The Old Testament and the Economics of God. The economics of mercy that he defines in this book is the livelihood of the covenant community that believes in God, which is the new paradigm of ownership that presents to us living in the twenty-first century. The new paradigm of just ownership presented by Kim is basic land income based on Thomas Paine’s natural law of land ideology and the land justice commandments of the Old Testament. He claims the concentration of information and wealth threatens the survival of the community by making the poor poorer. He argues that the poor today, more specifically those without a labor force such as the elderly, disabled, orphans and widows, also need a basic income, warning in this book that not caring for them can lead to the ruin of the community. Both Paine and the Old Testament assert that a basic income is a right that those without a labor force deserve. Economically, there are many economists who argue that basic income is not right from the perspective of labor, but basic income is not simply a matter to be 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labor economics. From a community point of view, the basic income presented by Kim is expected to be a concept of just ownership that contributes not only to the covenant community that believes in God, but also to all communities living in the worl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상과 인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