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剛仙論』의 分科와 그 사상적 특징 (The Division of Chapters of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by Abhidharma of Vajrarsi and Vajrarsi’s Philosophy Implicated in It)

4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08.04
41P 미리보기
『金剛仙論』의 分科와 그 사상적 특징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불교학연구 / 19권 / 349 ~ 389페이지
    · 저자명 : 김호귀

    초록

    The Abhidharma of Vajrarsi (金剛仙論) by Vajrarsi (金剛仙) is a
    treatise on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金剛經). It is in fact The
    Abhidharma of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金剛般若論) by
    Vasubandhu (天親). And Vasubandhu’s treatise is, in turn, the same
    as The Abhidharma of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by Asanga (無
    著) that consists in eighty gāthās about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It was said that Asanga received it from Bodhisattva Maitreya
    (彌勒菩薩) while in samādhi.
    Vajrarsi (or Vajrarśri or Vajrasena) was a disciple of Vasubandhu.
    He thus inherited the thoughts of Vasubandhu in his Abhidharma
    of Vajrarsi: firstly, the idea of the threefold body of the buddha,
    namely, the Dharma-body, the reward-body and the manifestationbody;
    Secondly, the ideas of threefold śūnyatā (三空) and twofold
    nirātman (二無我); and thirdly, the idea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ctrine in words and the enlightenment itself through
    words.
    Vajrarsi however classified the contents of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 into 12 chapters, differently from Vasubandhu’
    s classification: (1) Preface; (2) Taking care of Bodhisattvas; (2)
    Maintenance of pure-mind; (4) Self-discipline going well; (5)
    Tathagatas are not produced by causation; (6) ātman and dharma
    are both empty; (7) The virtues of dharma is superior to those of
    treasures; (8) All sentient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9) The
    benefits of bearing the Sūtra; (10) Elimination of doubts; (11) Noattachments
    to enlightenment; and (12) Commitment.

    영어초록

    The Abhidharma of Vajrarsi (金剛仙論) by Vajrarsi (金剛仙) is a
    treatise on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金剛經). It is in fact The
    Abhidharma of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金剛般若論) by
    Vasubandhu (天親). And Vasubandhu’s treatise is, in turn, the same
    as The Abhidharma of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by Asanga (無
    著) that consists in eighty gāthās about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sūtra.
    It was said that Asanga received it from Bodhisattva Maitreya
    (彌勒菩薩) while in samādhi.
    Vajrarsi (or Vajrarśri or Vajrasena) was a disciple of Vasubandhu.
    He thus inherited the thoughts of Vasubandhu in his Abhidharma
    of Vajrarsi: firstly, the idea of the threefold body of the buddha,
    namely, the Dharma-body, the reward-body and the manifestationbody;
    Secondly, the ideas of threefold śūnyatā (三空) and twofold
    nirātman (二無我); and thirdly, the idea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octrine in words and the enlightenment itself through
    words.
    Vajrarsi however classified the contents of Vajracchedikā-prajñāpāramitā-
    sūtra into 12 chapters, differently from Vasubandhu’
    s classification: (1) Preface; (2) Taking care of Bodhisattvas; (2)
    Maintenance of pure-mind; (4) Self-discipline going well; (5)
    Tathagatas are not produced by causation; (6) ātman and dharma
    are both empty; (7) The virtues of dharma is superior to those of
    treasures; (8) All sentient beings have the Buddha-nature; (9) The
    benefits of bearing the Sūtra; (10) Elimination of doubts; (11) Noattachments
    to enlightenment; and (12) Commitment.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1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