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中國民約精義』의 君民論과 그 한계 (The Equality Between Monarch and People in ‘Essence of Chinese Social Contract’)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4.09
22P 미리보기
『中國民約精義』의 君民論과 그 한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동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서철학연구 / 73호 / 191 ~ 212페이지
    · 저자명 : 노병렬, 천병돈

    초록

    『중국민약정의』는 黃宗羲의 『明夷待訪錄』과 마찬가지로 전제군주제의 폐단을 지적하는 저술이다. 황종희가 중국적 정치이론을 제시했다면, 유사배는 ‘민약’ 개념을 중국 문헌에서 찾았다.
    전제군주시대에 군주(君)와 백성(民)은 上下․尊卑 관계였다. 이런 관계로 백성은 군주의 부속물에 불과했다. 그러나 문헌 속에 있는 君과 民의 관계는 上下 ․尊卑 관계가 아니라 평등한 관계다. ‘군권’이란 ‘군주의 권한’을 말하는데, 전제군주제도 아래서 군권은 무소불위였다. 군주의 무소불위의 권한이 覇道에서 나왔다고 보았다. 주권은 백성 공공의 권력으로, 백성들이 약속을 통해 군주에게 위임했다. 이것이 군권이다. 따라서 군주는 自然法 즉 公理에 따라 그 권력을 행해야 한다.
    백성은 국가의 주체다. 군주는 백성의 권리를 위임받아 실행하는 사람이다. 그러므로 군주와 백성은 상하 관계가 아니라 평등 관계다. 백성이 가지고 있는 권리 즉 민권에는 ‘言路의 자유’․저항권․단결권 그리고 자유권이 있다. 이러한 백성의 권리가 유지되지 못한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전제군주제 아래서의 군주에게 있다. 그러나 법률이 그것을 보장해주지 못한 측면도 있다. 그래서 유사배는 법의 제도화를 통해 민권의 확립을 주장했다. 그러나 유사배는 말년에 袁世凱의 복벽지지로 자기변절을 한다. 이로 인해 『중국민약정의』를 통해 추구하고자 했던 ‘법률을 바탕으로 한 君民平等론’은 퇴색해버리고 말았다.
    ‘법률을 바탕으로 한 군민평등론’을 중국 문헌 속에서 찾아낸 사람은 유사배가 최초다. 그러므로 저자의 변절과 상관없이 『중국민약정의』의 가치 즉 ‘법률을 바탕으로 한 군민평등’ 사상은 높이 평가받아야 한다.

    영어초록

    Essence of Chinese Social Contract is a book that described the negative effect of the monarch system as like as Huangzongxi'(黃宗羲) “Mingyidaifanglu(明夷待訪錄)”. Liushipei(劉師培) founded out the concept of "social contract' in the Chinese literature compared to Huang zongxi' chinese political theory.
    Monarch and people are classified as a hierarchic system in the absolute monarch. In this point, people are only subjected to the monarch.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defined as the equal subjects in the old chinese literature. Under the absolute monarch system, the king enjoys the absolute power. This power comes from the military government politics. The sovereignty is the public power of people, but it is delegated to the monarch. This is the power of monarch. Therefore. monarch should be use his power in guidance of the natural law or public law.
    People are the main subject of state. Monarch is the person who act his power under the consent of people. In this respect, the relationship between monarch and people is equal. The right of people are defined as the freedom of press, the right of opposition, the right of organization, and that of civil liberty. However, these rights did not maintained by law. Therefore, Liu shipei insists the establishment of people’ right through the institution of law.
    But Liushipei changed his belief later to the period of Yuanshikai(袁世凱)’ Qing(淸) government. Consequently Liu’s ‘the equality of monarch and people based on law’ in his “Essence of Chinese Social Contract” has been faded out.
    Liushipei is the first person who founded out the concept of ‘the equality of monarch and people based on law’ in the chinese literature. Therefore, his concept of law regarding with political class should be respected even he changed his belief lat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서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45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