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朱熹의 廟數論과 宗廟制 改革論 (Zhu Xi's Theory of Ancestral Tablets and the Reform of the Royal Ancestral Shrine System)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4.23 최종저작일 2015.12
37P 미리보기
朱熹의 廟數論과 宗廟制 改革論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방학지 / 172호 / 95 ~ 131페이지
    · 저자명 : 김정신

    초록

    봉사(奉祀)해야 할 묘수, 그 중에서도 천자의 묘수에 관한 논의는 한대(漢代)에서 시작되었다. 주희는 한대 묘제를 둘러싼 논쟁의 내용과 차이점들을 소상히 분석하였는데, 특히 위현성과 유흠의 설을 자신의 시각으로 재해석함으로써 나름의 독자적인 묘제를 마련하였다.
    주희는 천자가 처음 종묘를 세울 때는 4친묘에 시조묘를 더한 5묘로부터 시작하였다가 이후 공업(功業)에 의해 세실(世室)이 된 2종(宗)이 더해져 7묘로, 다시 종묘에 부묘되는 근친묘(近親廟)의 수가 증가함에 따라 9묘로 확대된다고 보고 있다. 그의 이러한 주장은 당시 조정에서 희조(僖祖)의 조천을 두고 논쟁을 벌이는 가운데 보다 구체화되고 있었다. 희조의 조천을 둘러싼 논쟁과 주희의 입장, 그리고 희조 조천 논란에 나타난 주희 묘수론의 특징은 천자의 묘제라 하더라도 그 시작은 4친묘를 추존하는 것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보았던 것에 있었다. 이렇듯 천자의 묘제라 하더라도 그 시작은 4친묘를 추존하는 것에서 시작되어야 한다고 보았던 것이 주희 묘제론의 첫 번째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이렇듯 천자의 묘제는 4친묘를 추존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해야 함을 주장한 주희는 태조 이후 실질적인 황통(皇統)이 계승되면서부터는 유흠(劉歆)의 묘제에 따라 기본 묘수에서 6친묘를 적용해야 한다고 보았다. 이처럼 유흠의 설을 천자 묘제의 최종적인 완성형태로 보는 것이 주희 묘수론의 두 번째 특징이다.
    묘수론을 통해 주희는 태조가 선조를 추존할 때는 사(士)·서인(庶人)과 공통되는 4친묘로부터 시작해야 하지만, 실질적인 황통의 계승이 이루어지면서부터는 사서인과 구별되는 6친묘를 적용함으로써 근친묘수에서부터 등급에 따른 예제의 차이를 설정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는 5묘제에 입각한 태조의 입묘, 사대부 층까지 확대 적용된 4대 봉사를 통해 공리(功利)에 대한 천리․인륜의 우위를 확보하였던 한편 유흠설에 입각한 차등 묘제를 천자 묘제의 완성으로 봄으로써 의리명분에 입각한 상하 관계의 안정된 질서를 유지하는 예치(禮治)를 구현하고자 하였다.

    영어초록

    Discussions on the proper number of ancestral tablets to be used by the Son of Heaven when conducting ancestral rituals started in earnest during the Han dynasty, with the issue of what was proper and improper remaining unresolved until the Southern Song dynasty. At that time, Zhu Xi established a unique ancestral shrine system based on his reinterpretation of the existing arguments related to the number of ancestral tablets (廟數) housed in the royal ancestral shrine.
    The first characteristic of Zhu Xi's theory of the ancestral shrine system was related to his perception that the shrine should initially involve the use of four ancestral tablets, and this even in cases involving the Son of Heaven. This emphasis on the similar devotion of the Son of Heaven and the ruling class in terms of using four ancestral tablets (for the great-great-grandfather, the great-grandfather, the grandfather and the father) during ancestral rituals was designed to highlight the importance of human relations. The second characteristic of Zhu Xi's theory was rooted in his assertion that six ancestral tablets (representing six generations of ancestors) should be employed when the actual imperial bloodline was successively inherited from the Tai Zu (太祖), or the founder of a dynasty. In other words, Zhu Xi sought to actualize the rules for the rites (禮治) designed to maintain a stable relationship order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based on the concepts of loyalty and justification by differentiating the number of ancestral tablets used by the Son of Heaven and by the ruling clas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07 오전